동의보감의 목차
2023. 12. 27. 20:04ㆍ건강
728x90
반응형
BIG
◈ 東醫寶鑑 | ||
◈ 天地運氣 | ◈ 內景篇 | |
◇ 論一元十二會三十運 | ◈ 身形 | ◈ 五臟六腑 |
◇ 天地之形 | ||
◇ 南北極 | ◇ 形氣之始 | ◇ 醫當識五臟六腑 |
◇ 黃赤道 | ◇ 胎孕之始 | ◇ 臟腑陰陽 |
◇ 天地依附 | ◇ 四大成形 | ◇ 臟腑異用 |
◇ 天氣流行 | ◇ 人氣盛衰 | ◇ 臟腑有合 |
◇ 陰陽之氣升降盈虛 | ◇ 年老無子 | ◇ 五臟通七竅 |
◇ 天地不足之方 | ◇ 壽夭之異 | ◇ 五臟有官 |
◇ 四方異宜 | ◇ 形氣定壽夭 | ◇ 五臟有小大 |
◇ 地理有壽夭之異 | ◇ 人身猶一國 | ◇ 贓又有九 |
◇ 南北病治法 | ◇ 丹田有三 | ◇ 腑又有六 |
◇ 五行生剋順逆 | ◇ 背有三關 | ◇ 腸胃之長水穀之數 |
◇ 六氣之化 | ◇ 保養精氣神 | ◇ 五臟中邪 |
◇ 氣候差異 | ◇ 古有眞人至人聖人賢人 | ◇ 五臟正經自病 |
◇ 論上古天眞 | ◇ 脈辨臟腑 | |
○ 十干 | ◇ 四氣調神 | ◇ 臟腑異證 |
◇ 以道療病 | ◇ 臟腑病治有難易 | |
○ 十二支 | ◇ 虛心合道 | ◇ 臟腑相關 |
◇ 學道無早晩 | ◇ 五臟病間甚 | |
◇ 四時氣候 | ◇ 人心合天機 | ◇ 五臟死期 |
◇ 論天地六氣 | ◇ 搬運服食 | ◇ 臟腑氣絶候 |
◇ 交六氣時日 | ◇ 按摩導引 | |
◇ 攝養要訣 | ◈ 肝臟 | |
○ 主氣 | ||
◇ 還丹內煉法 | ◇ 肝形象 | |
○ 客氣 | ◇ 養性禁忌 | ◇ 肝部位 |
◇ 四時節宣 | ◇ 肝主時日 | |
◇ 論標本 | ◇ 肝屬物類 | |
◇ 陰陽相錯 | ◈ 氣 | ◇ 肝臟大小 |
◇ 五音大小 | ◇ 肝傷證 | |
◇ 五運紀運 | ◇ 氣爲精神之根 | ◇ 肝病證 |
◇ 歲中五運 | ◇ 氣生於穀 | ◇ 肝病虛實 |
◇ 論南北政 | ◇ 氣爲衛衛於外 | ◇ 肝病間甚 |
◇ 六氣承制 | ◇ 衛氣行度 | ◇ 肝病治法 |
◇ 五運之歲太過不及 | ◇ 肝絶候 | |
◇ 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 ○ 十二正經脈 | ◇ 肝臟修養法 |
◇ 六十年客氣旁通圖 | ◇ 肝臟導引法 | |
◇ 運氣之變成疫 | ○ 奇經八脈 | |
◇ 醫當識天地間運氣 | ◈ 心臟 | |
◇ 榮衛異行 | ||
◈ 集例 | ◇ 生氣之原 | ◇ 心形象 |
人體構成 | ◇ 氣爲呼吸之根 | ◇ 心部位 |
五臟六腑 | ◇ 心主時日 | |
病例 | ◇ 調氣訣 | ◇ 心屬物類 |
◇ 肺主氣 | ◇ 心臟大小 | |
◇ 脈法 | ◇ 心傷證 | |
◇ 氣爲諸病 | ◇ 心病證 | |
◇ 氣逸則滯 | ◇ 心病虛實 | |
七氣 | ◇ 心病間甚 | |
九氣 | ◇ 手少陰無輸 | |
中氣 | ◇ 心病治法 | |
上氣 | ◇ 心絶候 | |
下氣 | ◇ 心臟修養法 | |
短氣 | ◇ 心臟導引法 | |
少氣 | ||
氣로 생긴 氣痛 | ◈ 脾臟 | |
◇ 氣逆 | ||
◇ 脾形象 | ||
○ 氣鬱 | ◇ 脾部位 | |
◇ 脾主時日 | ||
◇ 氣不足生病 | ◇ 脾屬物類 | |
◇ 氣絶候 | ◇ 脾臟大小 | |
◇ 禁忌 | ◇ 脾傷證 | |
六字氣訣 | ◇ 脾病證 | |
◇ 脾病虛實 | ||
◈ 神 | ◇ 脾病間甚 | |
◇ 脾病治法 | ||
◇ 神爲一身之主 | ◇ 脾絶候 | |
◇ 五味生神 | ◇ 脾臟修養法 | |
◇ 心藏神 | ◇ 脾臟導引法 | |
◇ 人身神名 | ||
◇ 五藏藏七神 | ◈ 肺臟 | |
◇ 藏氣絶則神見於外 | ||
◇ 脈法 | ◇ 肺形象 | |
◇ 神 統七情傷則爲病 | ◇ 肺部位 | |
◇ 驚悸 | ◇ 肺主時日 | |
◇ 常法治驚 | ◇ 肺屬物類 | |
◇ 正沖 | ◇ 肺臟大小 | |
◇ 健忘症 | ◇ 肺傷證 | |
◇ 肺病證 | ||
○ 癲狂 | ◇ 肺病虛實 | |
◇ 肺病間甚 | ||
◇ 大下愈狂 | ◇ 肺病治法 | |
◇ 脫營失精證 | ◇ 肺絶候 | |
◇ 五志相勝爲治 | ◇ 肺臟修養法 | |
◇ 神病不治證 | ◇ 肺臟導引法 | |
◈ 睡眠과 꿈 | ◈ 腎臟 | |
◇ 魂魄爲夢 | ◇ 腎形象 | |
◇ 淫邪發夢 | ◇ 腎臟有二 | |
◇ 五藏虛實爲夢 | ◇ 腎部位 | |
◇ 陽氣之出入爲寤寐 | ◇ 腎主時日 | |
◇ 昏沈多睡 | ◇ 腎屬物類 | |
◇ 虛煩不睡 | ◇ 腎臟大小 | |
◇ 魂離不睡 | ◇ 腎傷證 | |
◇ 思結不睡 | ◇ 腎病證 | |
◇ 老少之睡不同 | ◇ 腎病虛實 | |
◇ 睡辨陰陽虛實 | ◇ 腎病間甚 | |
◇ 臥不安 | ◇ 腎病治法 | |
◇ 身重嗜臥 | ◇ 兩臟同一腑 | |
◇ 惡人欲獨處 | ◇ 腎絶候 | |
◇ 寢睡法 | ◇ 腎臟修養法 | |
◇ 斷惡夢 | ◇ 腎臟導引法 | |
◈ 聲音 | ◈ 膽腑 | |
◇ 聲音出於腎 | ◇ 膽形象 | |
◇ 聽聲音辨病證 | ◇ 膽部位 | |
◇ 卒然無音 | ◇ 膽主決斷 | |
◇ 因雜病失音 | ◇ 膽外候 | |
◇ 厥氣爲啞 | ◇ 膽傷證 | |
◇ 吟啞有二 | ◇ 膽病證 | |
◇ 聲嘶 | ◇ 膽病虛實 | |
◇ 腎怯與失音相似 | ◇ 膽病治法 | |
◇ 息有音 | ◇ 膽絶候 | |
◇ 不治證 | ◇ 膽腑導引法 | |
◈ 言語 | ◈ 胃腑 | |
◇ 肺主聲爲言 | ◇ 胃形象 | |
◇ 言語 妄 | ◇ 胃部位 | |
◇ 音不得語 | ◇ 胃爲水穀之海 | |
◇ 痰塞亡血赤爲 | ◇ 胃腑大小 | |
◇ 脈法 | ◇ 胃外候 | |
◇ 鄭聲 | ◇ 胃傷證 | |
◇ 言微 | ◇ 胃病證 | |
◇ 呼 | ◇ 胃病虛實 | |
◇ 笑 | ◇ 胃病治法 | |
◇ 歌 | ◇ 胃絶候 | |
◇ 哭 | ||
◇ 呻 | ○ 小腸腑 | |
◇ 欠 | ||
◇ 체 | ◇ 小腸形象 | |
◇ 噫 | ◇ 小腸部位 | |
◇ 太息 | ◇ 小腸傳受 | |
◇ 大驚不語 | ◇ 小腸外候 | |
◇ 中風不語 | ◇ 小腸病證 | |
◇ 語澁皆屬風 | ◇ 小腸病治法 | |
◇ 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 ◇ 小腸絶候 | |
◇ 小兒語遲 | ||
◇ 言語法 | ○ 大腸腑 | |
◇ 不治證 | ||
◇ 大腸形象 | ||
◈ 精 | ◇ 大腸部位 | |
◇ 大小腸連系 | ||
◇ 精爲身本 | ◇ 大腸外候 | |
◇ 精爲至寶 | ◇ 大腸病證 | |
◇ 五藏皆有精 | ◇ 大腸病治法 | |
◇ 脈法 | ◇ 大腸絶候 | |
◇ 精宜秘密 | ||
◇ 節慾儲精 | ○ 膀胱腑 | |
◇ 煉精有訣 | ||
◇ 補精以味 | ◇ 膀胱形象 | |
◇ 遺泄精屬心 | ◇ 膀胱部位 | |
◇ 夢泄屬心 | ◇ 膀胱傳受 | |
◇ 夢泄亦屬鬱 | ◇ 膀胱外候 | |
◇ 精滑脫屬虛 | ◇ 膀胱病證 | |
◇ 膀胱病治法 | ||
◈ 血 | ◇ 膀胱絶候 | |
◇ 陰血生於水穀 | ○ 三焦腑 | |
◇ 血爲榮 | ||
◇ 血爲氣配 | ◇ 三焦形象 | |
◇ 脈法 | ◇ 三焦部位 | |
◇ 熱能傷血 | ◇ 三焦傳受 | |
◇ 七情動血 | ◇ 三焦外候 | |
◇ 內傷失血 | ◇ 三焦病證 | |
◇ 失血諸證 | ◇ 三焦病治法 | |
◇ 辨血色新舊 | ||
○ 胞 | ||
○ 蓄血證 | ||
◇ 胞形象 | ||
◇ 血病吉凶 | ◇ 胞部位 | |
◇ 亡血脫血證 | ◇ 胞爲血室 | |
◇ 뉵血 | ◇ 脈法 | |
◇ 止뉵法 | ◇ 經行有異 | |
◇ 嘔血吐血 | ◇ 月候形色 | |
◇ 和血治法 | ||
○ 薄厥證 | ◇ 月候不調 | |
◇ 調血治法 | ||
○ 咳血수혈 | ◇ 血閉 | |
◇ 通血治法 | ||
◇ 尿血 피똥 | ◇ 室女月經不行 | |
◇ 齒뉵 | ◇ 血結成 | |
◇ 舌뉵 | ||
○ 血枯 | ||
○ 血汗 | ||
◇ 血崩血漏 | ||
◇ 九竅出血 | ◇ 崩漏治法 | |
○ 外傷 | ○ 赤白帶下 | |
◇ 失血眩暈 | ◇ 帶下治法 | |
◇ 黑藥止血 | ◇ 吐下療白帶 | |
◇ 禁忌 | ◇ 五色帶下 | |
◇ 治血藥法 | ◇ 寒入血室 | |
◇ 熱入血室 | ||
◈ 津液 | ◇ 經斷復行 | |
◇ 身中津液 | ||
◇ 腎主液 | ||
◇ 脈法 | ||
◇ 汗因濕熱 | ||
◇ 自汗 | ◈ 大便 | |
◇ 盜汗 | ||
◇ 童子盜汗 | ◇ 大便原委 | |
◇ 頭汗 | ◇ 大便病因 | |
◇ 辨便色 | ||
○ 心汗 | ◇ 脈法 | |
◇ 泄證有五 | ||
◇ 手足汗 | ◇ 泄瀉諸證 | |
◇ 陰汗 | ||
○ 濕泄 | ||
○ 血汗 | ||
○ 風泄 | ||
○ 黃汗 | ||
○ 寒泄 | ||
○ 漏風證 | ||
○ 暑泄 | ||
○ 亡陽證 | ||
○ 火泄 | ||
◇ 止汗法 | ||
◇ 無汗 | ○ 虛泄 | |
○ 絶汗 | ○ 滑泄 | |
○ 柔汗 | ○ 飡泄 | |
◇ 汗出凶證 | ○ 痰泄 | |
◇ 禁忌 | ||
◇ 積氣生液 | ○ 食積泄 | |
◇ 泣 | ||
◇ 涕 | ○ 酒泄 | |
◇ 涎 | ||
◇ 唾 | ○ 脾泄 | |
◇ 廻津法 | ||
○ 腎泄 | ||
◈ 痰飮 | ||
○ 暴泄 | ||
◇ 痰涎飮三者不同 | ||
◇ 痰飮分淸濁 | ○ 久泄 | |
◇ 王隱君痰論 | ||
◇ 飮病有八 | ◇ 泄瀉宜用升陽之藥 | |
◇ 瀉與痢不同 | ||
○ 留飮 | ◇ 久泄成痢 | |
◇ 痢疾諸證 | ||
○ 癖飮 | ||
○ 赤痢 | ||
○ 痰飮 | ||
○ 白痢 | ||
○ 溢飮 | ||
○ 赤白痢 | ||
○ 懸飮 | ||
○ 水穀痢 | ||
○ 支飮 | ||
○ 膿血痢 | ||
○ 伏飮 | ||
○ 금口痢 | ||
◇ 痰病有十 | ||
○ 休息痢 | ||
○ 風痰 | ||
○ 風痢 | ||
○ 寒痰 | ||
○ 寒痢 | ||
○ 濕痰 | ||
○ 濕痢 | ||
○ 熱痰 | ||
○ 熱痢 | ||
○ 鬱痰 | ||
○ 氣痢 | ||
○ 氣痰 | ||
○ 虛痢 | ||
○ 食痰 | ||
○ 積痢 | ||
○ 酒痰 | ||
○ 久痢 | ||
○ 驚痰 | ||
○ 疫痢 | ||
◇ 脈法 | ||
◇ 痰飮外證 | ○ 蠱 痢 | |
◇ 痰飮諸病 | ||
◇ 辨痰色 | ○ 五色痢 | |
◇ 痰飮流注證 | ||
◇ 痰病有似邪崇 | ◇ 八痢危證 | |
◇ 痢疾腹痛 | ||
○ 痰厥 | ◇ 痢疾裏急後重 | |
◇ 痢疾大孔痛 | ||
○ 痰塊 | ◇ 痢疾宜下 | |
◇ 治痢要訣 | ||
◇ 喜唾痰 | ◇ 痢疾通治藥 | |
◇ 痰結 | ◇ 泄痢易治難治辨 | |
◇ 痰病不卒死 | ◇ 泄痢吉凶證 | |
◇ 痰病難治證 | ◇ 飯後隨卽大便 | |
◇ 痰飮吐法 | ◇ 大便秘結 | |
◇ 痰飮治法 | ◇ 老人秘結 | |
◇ 痰飮通治藥 | ||
○ 脾約證 | ||
◈ 小便 | ||
○ 大便不通 | ||
◇ 小便原委 | ||
◇ 胞爲尿器 | ◇ 大小便不通 | |
◇ 辨尿色 | ||
◇ 脈法 | ○ 導便法, 관장법 | |
◇ 小便難外候 | ||
◇ 小便不利 | ||
◇ 小便不通 | ||
◇ 老虛人瀜閉 | ||
◇ 閉宜吐 | ||
◇ 瀜閉宜瀉 | ||
○ 轉胞證 | ||
○ 關格證 | ||
◇ 關格宜吐瀉 | ||
◇ 洗爲法 | ||
◇ 掩臍法 | ||
◇ 難治不治證 | ||
◇ 小便不禁 | ||
◇ 諸淋證 | ||
◇ 淋病有八 | ||
○ 勞淋 | ||
○ 血淋 | ||
○ 熱淋 | ||
○ 氣淋 | ||
○ 石淋 | ||
○ 膏淋 | ||
○ 沙淋 | ||
○ 冷淋 | ||
◇ 諸淋通治 | ||
◇ 赤白濁 | ||
○ 蠱病白淫 | ||
○ 胞痺證 | ||
◇ 莖中痒痛 | ||
○ 交腸證 | ||
◇ 小便多寡 | ||
◇ 飮後卽小便 | ||
◈ 外形篇 | ||
◈ 頭 | ◈ 頸項 | ◈ 皮 |
◇ 頭爲天谷以藏神 | ◇ 頸項寸數 | ◇ 皮有部分 |
◇ 頭有九宮 | ◇ 頸項部位 | ◇ 皮毛屬肺 |
◇ 腦爲髓海 | ◇ 項强 | ◇ 風寒之邪先入皮毛 |
◇ 頭部度數 | ◇ 項軟 | ◇ 脈法 |
◇ 頭病外候 | ◇ 風府宜護 | ◇ 痒痛 |
◇ 脈法 | ||
◈ 背 | ○ 반疹 | |
○ 頭風證 | ||
◇ 背脊骨節有數 | ◇ 陰證發반 | |
◇ 眩暈 | ◇ 背有三關 | ◇ 內傷發반 |
◇ 脈法 | ◇ 發반候 | |
○ 風暈 | ◇ 背爲胸府 | ◇ 반疹吉凶證 |
◇ 背寒 | ||
○ 熱暈 | ◇ 背熱 | ○ 은疹 |
◇ 背痛 | ||
○ 痰暈 | ◇ 背强 | ◇ 사좌비 |
◇ 背구루 | ||
○ 氣暈 | ○ 丹毒 | |
○ 龜背 | ||
○ 虛暈 | ○ 麻木 | |
◈ 胸 | ||
○ 濕暈 | ○ 索澤證 | |
◇ 胸膈之名有義 | ||
◇ 頭目不淸利 | ◇ 胸膈度數 | ○ 전風, 역양풍 |
◇ 胸膈部位 | ||
○ 正頭痛 | ◇ 臟腑經脈皆貫膈 | ◇ 治紫전風方 |
◇ 脈法 | ◇ 治赤白汗斑方 | |
○ 偏頭痛 | ◇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 ◇ 黑지엽子 |
◇ 心痛有九種 | ◇ 去黑엽子方 | |
○ 風寒頭痛 | ||
○ 蟲心痛 | ◈ 肉 | |
○ 濕熱頭痛 | ||
○ 주心痛 | ◇ 肉屬脾胃 | |
○ 厥逆頭痛 | ◇ 肉有谿谷 | |
○ 風心痛 | ◇ 군爲肉標 | |
○ 痰厥頭痛 | ◇ 肉主肥瘦 | |
○ 悸心痛 | ||
○ 氣厥頭痛 | ○ 食역證 | |
○ 食心痛 | ||
○ 熱厥頭痛 | ○ 肉苛證 | |
○ 飮心痛 | ||
○ 濕厥頭痛 | ○ 肉위證 | |
○ 冷心痛 | ||
○ 眞頭痛 | ◇ 婦人瘦췌 | |
○ 熱心痛 | ◇ 肉脫不治證 | |
○ 醉後頭痛 | ◇ 肉絶候 | |
○ 去來痛 | ◇ 贅肉 | |
○ 腦風證 | ◇ 우目 | |
◇ 心痛亦有六 | ||
○ 首風證 | ◈ 脈 | |
○ 脾心痛 | ||
○ 眉稜骨痛 | ◇ 脈者血氣之先 | |
○ 胃心痛 | ◇ 脈字有義 | |
◇ 頭痛不治難治證 | ◇ 脈法 | |
◇ 風頭旋 | ○ 腎心痛 | ◇ 下指法 |
◇ 腦縫開裂 | ||
◇ 頭生白屑 | ○ 積心痛 | ○ 十二經脈 |
◇ 吹鼻法 | ||
◇ 吐法 | ○ 厥心痛 | ○ 十五絡脈 |
◇ 下法 | ||
○ 眞心痛 | ○ 奇經八脈 | |
◈ 面 | ||
◇ 心腹병痛 | ◇ 脈動有準 | |
◇ 明堂部位 | ◇ 七情作心痛食積痰飮瘀血皆作胃脘痛 | ◇ 寸口者脈之大要會 |
◇ 面爲諸陽之會 | ◇ 七情心痛 | ◇ 六脈陰陽錯綜 |
◇ 人面耐寒 | ◇ 食積胃脘痛 | |
◇ 面病專屬胃 | ◇ 痰飮胃脘痛 | ○ 人迎脈과 기구맥 |
◇ 面部度數 | ◇ 瘀血胃脘痛 | |
◇ 面熱 | ◇ 心胃痛當分虛實 | ◇ 寸關尺合一寸九分 |
◇ 面寒 | ◇ 心胃痛治法 | |
◇ 面見五色 | ◇ 諸痛不可用補氣藥 | ○ 脈 |
◇ 面戴陽證 | ◇ 心胃痛劫藥 | |
◇ 心胃痛宜吐 | ○ 浮脈 | |
○ 胃風證 | ◇ 心胃痛宜下 | |
◇ 飮食禁忌 | ○ 규脈 | |
○ 腎風證 | ||
○ 龜胸 | ○ 滑脈 | |
○ 搭腫 | ||
○ 胸비 | ○ 實脈 | |
◇ 面上雜病 | ◇ 비有寒熱 | |
◇ 按摩法 | ◇ 비有虛實 | ○ 弦脈 |
◇ 面部凶證 | ◇ 비宜吐下 | |
◇ 비證治法 | ○ 緊脈 | |
◈ 眼 | ◇ 염비氣法 | |
◇ 위비氣法 | ○ 洪脈 | |
◇ 眼爲臟腑之精 | ||
○ 結胸 | ○ 微脈 | |
○ 氣輪 | ||
○ 大結胸 | ○ 沈脈 | |
○ 風輪 | ||
○ 小結胸 | ○ 緩脈 | |
○ 肉輪 | ||
○ 寒實結胸 | ○ 색脈 | |
○ 血輪 | ||
○ 熱實結胸 | ○ 遲脈 | |
○ 水輪 | ||
○ 水結胸 | ○ 伏脈 | |
○ 八廓 | ||
○ 血結胸 | ○ 濡脈 | |
○ 天廓 | ||
◇ 陰陽毒結胸 | ○ 弱脈 | |
○ 澤廓 | ||
○ 支結 | ○ 長脈 | |
○ 火廓 | ||
◇ 염結胸法 | ○ 短脈 | |
○ 雷廓 | ◇ 위結胸法 | |
◇ 結胸不治證 | ○ 虛脈 | |
○ 風廓 | ||
◈ 乳 | ○ 促脈 | |
○ 水廓 | ||
◇ 乳間度數 | ○ 結脈 | |
○ 山廓 | ◇ 男女乳腎爲根本 | |
◇ 産後乳汁不行有二 | ○ 代脈 | |
○ 地廓 | ◇ 下乳汁 | |
◇ 産前乳出 | ○ 牢脈 | |
◇ 眼睛屬五臟 | ◇ 無兒則當消乳 | |
◇ 眼有內外子 | ◇ 吹乳妬乳 | ○ 動脈 |
◇ 諸脈屬目 | ||
◇ 脈法 | ○ 乳癰 | ○ 細脈 |
◇ 目者肝之竅 | ||
◇ 眼病無寒 | ◇ 乳癰治法 | ○ 數脈 |
◇ 眼無火不病 | ◇ 結核久成於눈巖 | |
◇ 眼病所因 | ◇ 乳癰年高不治 | ○ 大脈 |
◇ 眼病當分表裏虛實 | ◇ 눈頭破裂 유현증 | |
◇ 眼病易治難治辨 | ◇ 男女乳疾不同 | ○ 散脈 |
◇ 眼中生火 | ||
◇ 眼病禁忌 | ◈ 腹 | ◇ 相類脈 |
◇ 眼病調養 | ◇ 相反脈 | |
◇ 目視凶證 | ◇ 腹圍度數 | ○ 五臟의 맥 |
◇ 點眼藥 | ◇ 腹有大小 | |
◇ 腹痛有部分 | ○ 六腑의 맥 | |
◈ 耳 | ◇ 脈法 | |
◇ 腹痛有六 | ◇ 四時脈 | |
◇ 耳目受陽氣以聰明 | ◇ 寒腹痛 | ◇ 寸關尺所主 |
◇ 耳者腎之竅 | ◇ 熱腹痛 | ◇ 人身九候脈 |
◇ 脈法 | ◇ 死血腹痛 | ◇ 脈病藥餌 |
◇ 耳鳴 | ◇ 食積腹痛 | |
◇ 耳聾 | ◇ 痰飮腹痛 | ◈ 筋 |
◇ 風聾 | ◇ 蟲腹痛 | |
◇ 濕聾 | ◇ 腹痛有虛實 | ◇ 筋屬肝 |
◇ 虛聾 | ◇ 積冷腹痛 | |
◇ 勞聾 | ◇ 腹痛嘔泄 | ○ 宗筋 |
◇ 厥聾 | ◇ 腹中窄狹 | |
◇ 卒聾 | ◇ 腹皮麻痺或痛 | ◇ 十二經皆有筋 |
◇ 耳重聽 | ◇ 腹中鳴 | ◇ 足太陽之筋 |
◇ 釘耳 | ◇ 足少陽之筋 | |
◇ 耳痛成膿耳 | ○ 涌水證 | ◇ 足陽明之筋 |
◇ 耳痒 | ◇ 足太陰之筋 | |
◇ 透關通氣藥 | ◇ 腹痛諸證 | ◇ 足少陰之筋 |
◇ 修養法 | ◇ 腹痛宜通利 | ◇ 足厥陰之筋 |
◇ 不治證 | ◇ 腹痛通治 | ◇ 手太陽之筋 |
◇ 諸蟲入耳 | ◇ 腹痛凶證 | ◇ 手少陽之筋 |
◇ 手陽明之筋 | ||
◈ 鼻 | ◈ 臍 | ◇ 手太陰之筋 |
◇ 手心主之筋 | ||
◇ 鼻曰神廬 | ◇ 臍居一身之中 | ◇ 手少陰之筋 |
◇ 鼻爲玄牝之門戶 | ◇ 臍下有丹田 | ◇ 膝爲筋府 |
◇ 鼻爲肺之竅 | ◇ 煉臍延壽 | ◇ 筋急筋緩 |
◇ 脈法 | ◇ 灸臍得延年 | |
◇ 鼻淵 | ◇ 臍宜溫煖 | ○ 筋위 |
◇ 代灸塗臍膏 | ||
○ 鼻溝 | ◇ 溫臍種子方 | ◇ 筋계 |
◇ 溫臍兜두方 | ◇ 筋상肉순 | |
○ 鼻뉵 | ◇ 封臍艾 | ○ 轉筋, 쥐가 나는 것 |
◇ 臍築證 | ||
◇ 鼻塞 | ◇ 臍凶證 | ◇ 筋傷證 |
◇ 鼻不聞香臭方 | ◇ 小兒臍瘡 | ◇ 筋病外證 |
◇ 鼻痔 | ◇ 筋絶證 | |
◇ 鼻瘡 | ◈ 腰 | ◇ 舒筋法 |
◇ 鼻痛 | ||
◇ 腰圍度數 | ◈ 骨 | |
○ 鼻邪 | ◇ 腰爲腎府 | |
◇ 脈法 | ◇ 骨屬腎 | |
◇ 面鼻紫黑 | ◇ 腰痛有十 | ◇ 骨爲髓府 |
◇ 鼻涕 | ◇ 腎虛腰痛 | ◇ 脊骨有數 |
◇ 鼻체 | ◇ 痰飮腰痛 | ◇ 관爲骨本 |
◇ 鼻色占病 | ◇ 食積腰痛 | ◇ 骨寒 |
◇ 修養法 | ◇ 挫閃腰痛 | ◇ 骨熱 |
◇ 瘀血腰痛 | ||
◈ 口舌 | ◇ 風腰痛 | ○ 骨위 |
◇ 寒腰痛 | ||
◇ 口曰玉池 | ◇ 濕腰痛 | ◇ 骨痛 |
◇ 舌屬心 | ◇ 濕熱腰痛 | ◇ 骨傷證 |
◇ 口唇屬脾 | ◇ 氣腰痛 | ◇ 骨病外證 |
◇ 脈法 | ◇ 骨絶證 | |
◇ 口舌主五味 | ○ 腎着證 | |
◇ 口酸 | ||
◇ 口苦 | ◇ 腰痛通治 | |
◇ 口甘 | ◇ 腰痛凶證 | |
◇ 口辛 | ||
◇ 口鹹 | ○ 導仁法 | ◈ 後陰 |
◇ 口臭 | ||
◇ 口미 | ◈ 脇 | ◇ 肛門重數 |
◇ 虛火口瘡 | ◇ 肛門別名 | |
◇ 唇腫唇瘡 | ◇ 脇腋度數 | ◇ 痔病之因 |
◇ 脇腋屬肝膽 | ◇ 痔者峙也 | |
○ 繭唇 | ◇ 脈法 | ◇ 脈法 |
◇ 脇痛有五 | ◇ 諸痔名目 | |
◇ 舌腫 | ◇ 氣鬱脇痛 | ◇ 痔有內外 |
◇ 死血脇痛 | ||
○ 重舌 | ◇ 痰飮脇痛 | ○ 脈痔 |
◇ 食積脇痛 | ||
○ 木舌 | ◇ 風寒脇痛 | ○ 腸痔 |
◇ 舌뉵 | ○ 乾脇痛 | ○ 氣痔 |
◇ 舌長舌短 | ||
◇ 舌上生胎 | ◇ 脇痛有虛實 | ○ 血痔 |
◇ 擦舌法 | ◇ 脇痛分左右 | |
◇ 舌生芒刺 | ◇ 腎邪上薄爲脇痛 | ○ 酒痔 |
◇ 口舌寸數 | ||
◇ 失欠脫함 | ○ 息積證 | ◇ 牡痔 |
◇ 自齧舌頰 | ◇ 牝痔 | |
◇ 口流涎 | ○ 肥氣證 | |
◇ 口금不開 | ○ 瘻痔 | |
◇ 視唇舌占病 | ◇ 腋臭 | |
◇ 小兒口舌病 | ○ 腸風과 장독 | |
◇ 口舌瘡삼付藥 | ○ 漏液 | |
◇ 口舌瘡外治法 | ○ 痔漏 | |
◇ 酒客喉舌生瘡 | ◈ 手 | |
◇ 諸蟲入口 | ○ 脫肛 | |
◇ 補舌斷方 | ◇ 手部度數 | |
◇ 手領肩유주臂腕 | ◇ 肛門痒痛 | |
◈ 牙齒 | ◇ 手五指有名 | ◇ 痔兼諸病 |
◇ 四肢爲諸陽之本 | ◇ 痔病治法 | |
◇ 齒者骨之餘 | ◇ 手掌以候胃 | ◇ 痔病通治 |
◇ 上下 屬手足陽明 | ◇ 四肢熱 | ◇ 洗痔法 |
◇ 齒病惡寒惡熱 | ◇ 四肢不用 | ◇ 熏痔法 |
◇ 牙齒盛衰 | ◇ 肩臂病因 | ◇ 塗痔藥 |
◇ 牙齒異名 | ◇ 痰飮多爲臂痛 | ◇ 痔病禁忌 |
◇ 脈法 | ◇ 臂痛有六道經絡 | ◇ 痔病凶證 |
◇ 牙齒痛有七 | ◇ 風 末疾 | |
◇ 風熱痛 | ||
◇ 風冷痛 | ○ 結陽證 | |
◇ 熱痛 | ||
◇ 寒痛 | ◇ 十指麻木 | |
◇ 毒痰痛 | ◇ 肩臂骨脫臼 | |
◇ 瘀血痛 | ◇ 手循衣撮空摸床 | |
◇ 蟲蝕痛 | ◇ 心虛手振 | |
◇ 牙齒動搖 | ◇ 手瓜占病 | |
◇ 牙齒脫落 | ◇ 代指 | |
◇ 塞耳鼻止牙痛方 | ◇ 手足 裂 | |
◇ 出牙蟲殺蟲法 | ||
◇ 牙齒疳닉瘡 | ◈ 足 | |
◇ 齒黃黑 | ||
◇ 消齒壅法 | ◇ 足部度數 | |
◇ 牙齒漸長 | ◇ 足領 股膝 脛腕 | |
◇ 脈法 | ||
○ 鬪齒 | ◇ 厥有寒熱 | |
○ 齒뉵 | ○ 寒厥 | |
◇ 계齒 | ○ 熱厥 | |
◇ 去痛齒不犯手方 | ||
◇ 落齒重生方 | ◇ 脚氣異名 | |
◇ 食酸齒초 | ◇ 脚氣病因 | |
◇ 齒病塗擦方 | ◇ 脚氣病證 | |
◇ 齒病含漱方 | ◇ 脚氣治法 | |
◇ 修養固齒法 | ◇ 脚氣危證 | |
◇ 齒病禁忌 | ◇ 脚氣禁忌法 | |
◇ 視齒色占病 | ◇ 脚氣按摩法 | |
◇ 病之因 | ||
◈ 咽喉 | ◇ 病治法 | |
◇ 熱厥成 | ||
◇ 咽與喉各異 | ||
◇ 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 ○ 鶴膝風 | |
◇ 咽喉度數 | ||
◇ 脈法 | ◇ 脚病凶證 | |
◇ 咽喉之病皆屬火 | ||
◇ 咽喉病名 | ○ 甲疽瘡 | |
◇ 單乳蛾雙乳蛾喉痺 | ||
◇ 肉刺 | ||
○ 急喉痺 전후풍 | ||
◈ 毛髮 | ||
◇ 懸雍垂 | ||
◇ 髮屬腎 | ||
○ 梅核氣 시인 | ◇ 髮者血之餘 | |
◇ 十二經毛髮多少 | ||
◇ 咽喉痛 | ◇ 髮眉鬚髥 各異 | |
◇ 傷寒咽痛 | ◇ 髮眉鬚各有所屬 | |
◇ 咽喉瘡 | ◇ 婦人無鬚 | |
◇ 喉痺失音 | ◇ 宦官無鬚 | |
◇ 天行喉痺 | ◇ 鬚髮榮枯 | |
◇ 咽喉急閉宜鍼 | ◇ 鬚髮黃落 | |
◇ 咽喉急閉宜吐 | ◇ 染白烏鬚髮 | |
◇ 引痰直捷法 | ◇ 髮宜多櫛 | |
◇ 咽喉閉通治 | ◇ 髮占凶證 | |
◇ 咽喉不治證 | ||
◇ 魚骨경 | ◈ 前陰 | |
◇ 獸骨경 | ||
◇ 引경法 | ◇ 前陰屬宗筋 | |
◇ 誤呑諸物 | ◇ 前陰諸疾 | |
◇ 誤呑諸蟲 | ◇ 疝病之因 | |
◇ 脈法 | ||
◇ 疝專主肝 | ||
◇ 疝病有七 | ||
○ 寒疝 | ||
○ 水疝 | ||
○ 筋疝 | ||
○ 血疝 | ||
○ 氣疝 | ||
○ 狐疝 | ||
○ 疝 | ||
◇ 疝病證候 | ||
◇ 諸疝治法 | ||
◇ 寒疝藥 | ||
◇ 水疝藥 | ||
◇ 筋疝藥 | ||
◇ 血疝藥 | ||
◇ 氣疝藥 | ||
◇ 狐疝 | ||
◇ 疝藥 | ||
◇ 陰卵偏墜 | ||
○ 木腎 | ||
○ 奔豚疝氣 | ||
◇ 陰縱陰縮 | ||
○ 脫陽證 | ||
○ 陰 | ||
◇ 陰冷 | ||
◇ 陰腫 | ||
◇ 囊癰 | ||
◇ 陰囊濕痒 | ||
◇ 疝痛劫藥 | ||
◇ 諸疝通治 | ||
◇ 疝病危證 | ||
◇ 疝病禁忌 | ||
◇ 陰囊病死候 | ||
○ 導引法 | ||
◇ 陰蝕瘡下疳瘡 | ||
◇ 婦人陰門諸疾 | ||
○ 陰挺과 음탈 | ||
◇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 ||
◇ 枳橘 法 | ||
◈ 雜病篇 | ||
◈ 審病 | ◈ 風 | ◈ 內傷 |
◇ 中風微漸 | ◇ 食藥療病 | |
◇ 診病之道 | ◇ 調治預防 | ◇ 水穀爲養命之本 |
◇ 明堂察色 | ◇ 熱生風 | ◇ 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
◇ 五色占吉凶 | ◇ 肥人多中風 | ◇ 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
◇ 察病玄機 | ◇ 中風所因 | ◇ 脈法 |
◇ 內經病機 | ◇ 中風大證 | |
◇ 五臟者中之守 | ◇ 賊風虛邪中人 | ○ 食傷證 |
◇ 五臟者身之强 | ◇ 中風大法有四 | |
◇ 占新久病 | ◇ 中風之名各不同 | ◇ 食傷治法 |
◇ 可治難治證 | ◇ 脈法 | ◇ 食傷消導之劑 |
◇ 病有五邪 | ◇ 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 ◇ 食傷補益之劑 |
◇ 辨氣血痰火 | ◇ 卒中風救急 | ◇ 酒傷 |
◇ 凡病晝夜輕重 | ◇ 開遮法 | ◇ 飮酒禁忌 |
◇ 病愈日時 | ◇ 取吐法 | ◇ 酒毒變爲諸病 |
◇ 七診死候 | ◇ 熏法 | ◇ 酒病治法 |
◇ 五臟及陰陽絶候 | ◇ 不治證 | ◇ 醒酒令不醉 |
◇ 雜病占死候 | ◇ 暴徒 | |
◇ 暴啞 | ○ 勞倦傷 | |
◈ 辨證 | ◇ 精神蒙昧 | |
◇ 口眼渦斜 | ◇ 辨內外傷證 | |
◇ 五實五虛 | ◇ 手足痺 | ◇ 勞倦傷治法 |
◇ 陰陽生病 | ◇ 四肢 爲風疾 | ◇ 內傷病脾胃虛實 |
◇ 陰陽虛盛 | ◇ 痰涎壅盛 | ◇ 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
◇ 內傷精神 | ◇ 中風熱證 | ◇ 脾結不食 |
◇ 寒熱傷形氣 | ◇ 中風虛證 | ◇ 思結不食 |
◇ 求屬法 | ◇ 中風宜調氣 | ◇ 食後昏困 |
◇ 療病式 | ◇ 風非大汗則不除 | ◇ 不嗜飮食由下元陽衰 |
◇ 三不治六不治 | ◇ 風病須防再發 | ◇ 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
◇ 醫貴三世 | ◇ 小中不須深治 | ◇ 內傷變爲諸病 |
◇ 四時生病 | ◇ 中風能食 | ◇ 呑酸吐酸 |
◇ 百病始生 | ||
◇ 百病朝慧夕加 | ○ 傷風證 | ○ 粗雜證 |
◇ 反常爲病 | ||
◇ 便寒便熱 | ◇ 諸風病名 | ○ 懊怒 |
◇ 肥瘦辨病候 | ◇ 風病治法 | |
◇ 勇怯異形 | ◇ 諸風通治 | ◇ 噫氣 |
◇ 臟腑病緩傳 | ◇ 風痺之始 | ◇ 熱膈反胃 |
◇ 臟腑病急傳 | ◇ 三痺 | ◇ 安養心神調治脾胃 |
◇ 邪精虛實 | ◇ 五痺 , | ◇ 內傷將理法 |
◇ 三虛三實 | ◇ 痺脈 | ◇ 五味過傷爲病 |
◇ 脈從病反 | ◇ 痺病形證 | ◇ 不伏水土病與內傷同 |
◇ 標本相反 | ◇ 痺病吉凶 | ◇ 內傷調補藥 |
◇ 惡寒惡熱 | ◇ 痺病多兼麻木 | |
◇ 榮衛生病 | ◇ 風痺與 相類 | ○ 食厥 |
◇ 能食不能食 | ◇ 痺病難治 | |
◇ 凡病辨有餘不足 | ◇ 痺病治法 | ◇ 食積類傷寒 |
◇ 凡病有形無形 | ◇ 痺證病名及用藥 | ◇ 內傷飮食宜吐 |
◇ 三焦不歸 | ◇ 歷節風病因 | ◇ 內傷飮食宜下 |
◇ 二尸四異四奇 | ◇ 歷節風證狀 | |
◇ 男女病因 | ◇ 歷節風治法 | ○ 導引法 |
◇ 升降失常爲病 | ||
◇ 辨陰陽二證 | ○ 禁忌法 | |
◇ 辨內傷外傷 | ◈ 虛勞 | |
◇ 八虛候五臟 | ◇ 破傷風病因 | |
◇ 人不食七日死 | ◇ 治與痙通稱破傷風 | ◇ 虛勞病源 |
◇ 病有五逆 | ◇ 破傷風形證 | |
◇ 五味所入 | ◇ 破傷風脈 | ○ 虛勞證 |
◇ 五氣所病 | ◇ 破傷風治法 | |
◇ 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 ◇ 脈法 | |
○ 五精所幷 | ◇ 有剛柔二證 | |
◇ 雉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 ○ 五勞證 | |
◇ 五臟所惡 | ◇ 破傷風凶證 | |
◇ 五臟化液 | ○ 六極證 | |
◇ 五味所禁 | ◈ 火...君火 | |
○ 七傷證 | ||
○ 五病所發 | ◇ 火有君相之二 | |
◇ 火爲元氣之賊 | ◇ 人身陽有餘陰不足 | |
○ 五邪所亂 | ◇ 脈法 | ◇ 辨氣虛血虛陽虛陰虛 |
◇ 辨五臟熱證 | ◇ 虛勞治法 | |
◇ 五邪所見 | ◇ 手按辨熱深淺 | ◇ 陰虛用藥 |
◇ 五臟所藏 | ◇ 審臟腑熱之部分 | ◇ 陰虛暴絶治法 |
◇ 五臟所主 | ◇ 火熱有實有虛 | ◇ 陽虛用藥 |
◇ 熱有晝夜之分 | ◇ 陰陽俱虛用藥 | |
○ 五勞所傷 | ◇ 火有上中下三焦之異 | ◇ 心虛藥 |
◇ 通治三焦火 | ◇ 肝虛藥 | |
◇ 五脈應象 | ◇ 脾虛藥 | |
○ 積熱 | ◇ 肺虛藥 | |
◈ 診脈 | ◇ 腎虛藥 | |
○ 骨蒸熱 | ◇ 虛勞通治藥 | |
◇ 天和六脈 | ◇ 虛勞調理藥 | |
◇ 脈當有神 | ◇ 骨蒸不治證 | ◇ 葛可久治虛勞十藥 |
◇ 脈以胃氣爲本 | ◇ 虛勞生死證 | |
○ 五心熱 | ◇ 虛勞脈代證 | |
○ 眞臟脈 | ||
○ 潮熱 | ○ 煎厥證 | |
◇ 損至脈 | ||
○ 虛煩 | ○ 解逆證 | |
○ 離經脈 | ||
◇ 上升之氣屬火 | ○ 注夏病 | |
◇ 南北政脈 | ◇ 惡熱惡寒 | |
◇ 止代脈定死期 | ◇ 陽虛外寒陽盛外熱 | ○ 二陽病 |
◇ 促結代脈皆中止 | ◇ 陰虛內熱陰盛內寒 | |
◇ 陰陽脈 | ◇ 辨陽虛陰虛二證 | ◇ 難治不治證 |
◇ 飮酒發熱 | ||
○ 殘賊脈 | ◇ 滯血發熱 | ◈ 廓亂 |
◇ 陰虛火動 | ||
○ 互脈 | ◇ 陰虛火動者難治 | ◇ 廓亂之因 |
◇ 制火有方 | ◇ 廓亂形證 | |
○ 淸高無脈 | ◇ 退熱有法 | ◇ 脈法 |
◇ 臟腑瀉火藥 | ◇ 廓亂有乾有濕 | |
◇ 凡病革必診太谿衝陽 | ◇ 通治火熱藥法 | ◇ 乾廓亂治法 |
◇ 脈大病進 | ◇ 濕廓亂治法 | |
◇ 寸口脈平猶死 | ◈ 暑...相火 | ◇ 廓亂後轉筋 |
◇ 脈從病反 | ◇ 廓亂後煩渴 | |
◇ 脈絶不見 | ◇ 暑者相火行令也 | ◇ 廓亂後虛煩 |
◇ 診有輕重 | ◇ 傷寒傳變爲溫爲暑 | ◇ 廓亂吐法 |
◇ 老少男女異脈 | ◇ 脈法 | ◇ 廓亂蒸法 |
◇ 肥瘦長短異脈 | ◇ 暑病形證 | ◇ 廓亂鍼法 |
◇ 諸脈綱領 | ◇ 中暑救急 | ◇ 廓亂灸法 |
◇ 諸脈病證 | ◇ 中割中熱之辨 | ◇ 禁忌法 |
◇ 諸死脈 | ◇ 夏暑宜補氣 | ◇ 不治證 |
◇ 十怪脈 | ◇ 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 ◇ 水疾吐瀉 |
◈ 吐 | ○ 暑風 | ◈ 嘔吐 |
◇ 春宜吐 | ◇ 暑熱煩渴 | ◇ 嘔吐之因 |
◇ 吐乃古法 | ◇ 暑病吐瀉 | ◇ 脈法 |
◇ 病在上宜吐 | ◇ 嘔吐治法 | |
◇ 涌劑難用 | ○ 伏暑證 | ◇ 惡心乾嘔 |
◇ 吐藥 | ◇ 食痺吐食 | |
◇ 取吐法 | ○ 注夏病 | ◇ 吐病有三 |
◇ 助吐法 | ◇ 反胃病因 | |
◇ 灌鼻法 | ◇ 夏暑將理法 | ◇ 反胃治法 |
◇ 可吐證 | ◇ 暑熱通治藥 | ◇ 嘔吐 反胃宜通大便 |
◇ 不可吐證 | ◇ 難治不治證 | |
◇ 下部脈不見宜吐 | ◈ 濕 | |
◇ 止吐法 | ◈ 咳嗽 | |
◇ 濕乃水氣 | ||
○ 倒倉法 | ◇ 霧露之氣爲障 | ◇ 咳嗽病因 |
◇ 脈法 | ◇ 脈法 | |
○ 輪廻酒 | ◇ 濕氣侵人不覺 | ◇ 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
◇ 霧露淸濁之邪中人 | ◇ 臟腑治咳藥 | |
◇ 倒倉順忍煩惱 | ◇ 火熱生濕 | ◇ 嗽作有四時早晏之異 |
◇ 倒倉之義 | ◇ 濕病類傷寒 | ◇ 咳嗽諸證 |
◇ 濕病有七 | ◇ 通治咳嗽藥 | |
○ 霞天膏 | ◇ 濕多身痛暑無身痛 | ◇ 喘證有八 |
◇ 濕有內外之殊 | ◇ 諸傷發喘嗽 | |
◈ 下 | ◇ 濕病治法及通治藥 | ◇ 喘嗽通治藥 |
◇ 濕病禁汗下及灸 | ◇ 喘嗽宜辨寒熱 | |
◇ 秋宜下 | ◇ 濕病大汗則成雉病 | ◇ 喘嗽宜分虛實 |
◇ 下無太晩 | ◇ 喘嗽聲嘶 | |
◇ 宜下證 | ◈ 燥 | ◇ 喘嗽上氣出於腎虛 |
◇ 促下法 | ◇ 喘嗽劫藥 | |
◇ 下多亡陰 | ◇ 燥因血少 | ◇ 喘嗽熏藥 |
◇ 下法宜愼 | ◇ 脈法 | |
◇ 大下後難禁 | ◇ 燥者肺金之病 | ○ 哮證 |
◇ 下藥 | ◇ 燥宜養血 | |
○ 肺脹證 | ||
◈ 寒 | ||
◈ 汗 | ○ 肺威證 | |
◇ 冬爲傷寒 | ||
◇ 夏宜汗 | ◇ 傷寒號爲大病 | ○ 咳逆證 |
◇ 汗無太早 | ◇ 兩感傷寒爲死證 | |
◇ 發汗法 | ◇ 脈法 | ◇ 咳逆與 爲一 |
◇ 發汗緩急 | ◇ 傷寒變熱 | ◇ 咳逆治法 |
◇ 蒸劫發汗 | ◇ 傷寒傳經 | ◇ 痢後咳逆 |
◇ 促汗夭壽 | ◇ 傷寒或愈或死日期 | ◇ 食塞咳逆 |
◇ 可汗證 | ◇ 傷寒大法 | ◇ 痰閉咳逆 |
◇ 不可汗證 | ◇ 太陽六傳 | ◇ 水結咳逆 |
◇ 汗多亡陽 | ◇ 六經標本 | ◇ 過笑咳逆 |
◇ 太陽形證用藥 | ◇ 咳逆易治難治證 | |
○ 解肌 | ◇ 陽明形證用藥 | ◇ 取 法 |
◇ 少陽形證用藥 | ◇ 嗅臭法 | |
◈ 用藥 | ◇ 太陰形證用藥 | ◇ 禁忌法 |
◇ 少陰形證用藥 | ◇ 嗽喘咳逆不治證 | |
◇ 近世論醫 | ◇ 厥陰形證用藥 | |
◇ 形氣用補瀉 | ◈ 積聚 | |
◇ 用藥大體 | ○ 傷寒陽證 | |
◇ 水火分治歌 | ◇ 積聚之因 | |
◇ 標本分治歌 | ○ 傷寒陰證 | ◇ 論五積六聚 |
◇ 治病必求於本 | ◇ 伏梁有二證 | |
◇ 急則治標緩則治本 | ○ 傷寒表證 | ◇ 脈法 |
◇ 標本用藥先後 | ◇ 六鬱爲積聚 癖之本 | |
◇ 太陽少陰標本異藥 | ○ 傷寒裏證 | ◇ 肥塊積聚所屬部分 |
◇ 毋伐天和 | ◇ 肥塊證治 | |
◇ 用藥大法 | ◇ 傷寒半表半裏證 | ◇ 積聚治法 |
◇ 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 ◇ 懲假弦癖證治 | |
◇ 五鬱治法 | ○ 傷寒陰厥 | ◇ 養正積自除 |
◇ 用藥權變 | ◇ 腸覃石 血蠱證治 | |
◇ 汗下之戒 | ○ 傷寒陽厥 | |
◇ 上工治未病 | ○ 息積病 | |
◇ 虛實補瀉 | ◇ 陰陽厥輕重 | |
◇ 補瀉妙訣 | ◇ 辨陰陽厥法 | ○ 導引法 |
◇ 補瀉相兼 | ◇ 厥有藏厥會厥 | |
◇ 求屬之法 | ◇ 厥與四逆不同 | ◇ 諸物傷成積 |
◇ 治病三法 | ◇ 積聚,懲假,弦癖,肥塊通治藥 | |
◇ 療病五法 | ○ 傷寒陰毒 | ◇ 外貼法 |
◇ 滋化源 | ◇ 懲假治法 | |
◇ 子母補瀉 | ○ 傷寒陽毒 | ◇ 握藥宣積 |
◇ 藥貴簡要 | ◇ 難治證 | |
◇ 約方猶約囊 | ○ 陰盛隔陽 | |
◇ 醫不著書 | ◈ 浮腫 | |
◇ 通則不痛 | ○ 陽盛拒陰 | |
◇ 溫之以氣 | ◇ 浮腫之因 | |
◇ 人病不過寒濕熱燥 | ○ 陰極似陽 | ◇ 浮腫徵兆 |
◇ 至陽佐以至陰 | ◇ 浮腫形證 | |
◇ 勿傷胃氣 | ○ 陽極似陰 | ◇ 脈法 |
◇ 肥瘦用藥 | ◇ 水腫治法 | |
◇ 食療治病 | ○ 傷寒雜證 | ◇ 十水證과 十水丸 |
◇ 治病八要 | ||
◇ 病有不可補者四 | ◇ 傷寒合病 | ○ 結陽證 |
◇ 表裏虛實藥 | ◇ 傷寒倂病 | |
◇ 風熱燥濕寒治法 | ◇ 氣分證血分證 | |
◇ 治病先去根 | ○ 傷寒煩躁 | ◇ 婦人産前後浮腫 |
◇ 不服藥自去水方 | ||
○ 十八劑 | ◇ 懊濃不鬱 | ◇ 浮腫通治藥 |
◇ 可治不治證 | ||
○ 傷寒戰慄 | ◇ 禁忌法 | |
○ 傷寒動悸 | ◈ 脹滿 | |
○ 傷寒動氣 | ◇ 脹滿之源 | |
◇ 脹滿形證 | ||
◈ 諸瘡 | ◇ 脈法 | |
◇ 脹病有七 | ||
◈ 諸傷 | ◇ 脹滿治法 | |
◇ 脹滿通治藥 | ||
◈ 解毒 | ◇ 濁氣在上則生津脹 | |
◇ 傷寒熱病腹脹滿 | ||
◈ 救急 | ◇ 脹滿乃眞臟病也 | |
◇ 脹滿泄瀉 | ||
◈ 怪疾 | ◇ 外敷法 | |
◇ 可治不可治證 | ||
◈ 雜方 | ||
◈ 消渴 | ||
◈ 婦人病 | ||
◇ 消渴之源 | ||
◈ 小兒 | ◇ 消渴形證 | |
◇ 脈法 | ||
◈ 蟲 | ◇ 消渴有三 | |
◈ 湯液篇 | ○ 食易證 | |
◈ 湯液序例 | ◇ 消渴小便甛 | |
◇ 消渴由坎火衰少 | ||
◈ 水部 | ◇ 消渴與脚氣相反 | |
◇ 消渴通治藥 | ||
◈ 土部 | ||
○ 酒渴 | ||
◈ 穀部 | ||
○ 蟲渴 | ||
◈ 禽部 | ||
○ 强中證 | ||
◈ 獸部 | ||
◇ 消渴傳變證 | ||
◈ 魚部 | ◇ 消渴須預防癰疽 | |
◇ 不治證 | ||
◈ 蟲部 | ◇ 禁忌法 | |
◈ 果部 | ◈ 黃疸 | |
◈ 菜部 | ◇ 黃疸之因 | |
◇ 黃疸有五 | ||
◈ 草部 | ◇ 脈法 | |
◇ 黃疸治法 | ||
◈ 木部 | ◇ 酒疸最重 | |
◇ 黑疸難治 | ||
◈ 玉部 | ||
○ 陰黃 | ||
◈ 石部 | ||
◇ 疫 發黃 | ||
◈ 金部 | ◇ 鼻退黃法 | |
◇ 黃疸通治藥 | ||
◈ 人部 | ◇ 疸癖愛喫土炭生米茶葉 | |
◇ 可治不治證 | ||
◈ 鍼灸篇 | ||
◈ 虐疾 | ||
◈ 鍼灸 | ||
◇ 虐疾病之源 | ||
◇ 虐疾形證 | ||
◇ 脈法 | ||
◇ 寒熱先後 | ||
◇ 寒熱往來 | ||
◇ 虐疾發日數多少 | ||
◇ 虐疾發有晝夜早晏之異 | ||
◇ 六經虐疾 | ||
◇ 虐疾晝發夜發宜分治 | ||
◇ 諸 證治 | ||
◇ 虐疾寒熱不歇有根 | ||
◇ 寒熱似虐 | ||
◇ 疾治法 | ||
◇ 治虐疾須用分陰陽之藥 | ||
◇ 知虐疾將差 | ||
◇ 截虐疾法 | ||
◇ 禳法 | ||
◇ 禁忌法 | ||
◇ 難治不治證 | ||
◈ 瘟疫 | ||
◇ 瘟疫之因 | ||
◇ 瘟疫形證 | ||
◇ 脈法 | ||
◇ 瘟疫治法 | ||
○ 大頭瘟證 | ||
◇ 大頭瘟治法 | ||
◇ 禳法 | ||
◇ 瘟疫豫防法 | ||
◇ 不傳梁法 | ||
○ 장疫 | ||
◇ 瘟疫熱病不治證 | ||
◈ 邪수 | ||
◇ 邪形證 | ||
◇ 十 五尸 | ||
◇ 脈法 | ||
◇ 邪 尸 治藥 | ||
◇ 驗尸 法 | ||
◇ 禳法 | ||
○ 導引法 | ||
◈ 癰疽 | ||
◇ 癰疽發病之原 | ||
◇ 癰疽欲發之候 | ||
◇ 癰疽名狀 | ||
◇ 癰疽腫痛痒之因 | ||
◇ 癰疽輕重淺深之辨 | ||
◇ 定癰疽死之部分 | ||
◇ 癰疽當分內外 | ||
◇ 癰疽當分經絡 | ||
◇ 癰疽脈 | ||
◇ 癰疽難治不治證 | ||
◇ 癰疽辨膿有無及淺深 | ||
◇ 癰疽發暈 | ||
◇ 癰疽死證 | ||
◇ 癰疽善惡證 | ||
◇ 治癰疽大法 | ||
◇ 癰疽內托法 | ||
◇ 陰疽起發法 | ||
◇ 癰疽五發證 | ||
◇ 癰疽作穴出膿法 | ||
◇ 隔皮取膿法 | ||
◇ 癰疽排膿生肌法 | ||
◇ 癰疽瘡口深大方 | ||
◇ 癰疽去惡肉方 | ||
◇ 癰疽湯洗法 | ||
◇ 癰疽 貼法 | ||
◇ 竹筒吸毒方 | ||
◇ 內外分癰疽 | ||
◇ 癰疽雜證 | ||
◇ 癰疽通治藥 | ||
◇ 調理及禁忌法 | ||
동의보감 | ◈ 東醫寶鑑 | |
하늘과 땅의 運氣 | ◈ 天地運氣 | |
1元 12會 30運에 대하여 | ◇ 論一元十二會三十運 | |
하늘과 땅의 形體 | ◇ 天地之形 | |
南極과 北極 | ◇ 南北極 | |
黃道와 赤道 | ◇ 黃赤道 | |
하늘과 땅이 依存하는 것 | ◇ 天地依附 | |
天氣가 도는 것 | ◇ 天氣流行 | |
陰陽, 氣가 오르내리는 것, 차거나 비는 것 | ◇ 陰陽之氣升降盈虛 | |
하늘과 땅의 氣가 不足한 防衛 | ◇ 天地不足之方 | |
4方이 다른 데 따라 알맞게 治療해야 한다 | ◇ 四方異宜 | |
地方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 | ◇ 地理有壽夭之異 | |
南쪽과 北쪽에서 病을 治療하는 方法 | ◇ 南北病治法 | |
5行 相生, 相剋이 제대로 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것 | ◇ 五行生剋順逆 | |
6氣의 作用 | ◇ 六氣之化 | |
氣候의 差異 | ◇ 氣候差異 | |
10干 | ○ 十干 | |
12支 | ○ 十二支 | |
4철의 氣候 | ◇ 四時氣候 | |
하늘과 땅의 6氣에 대하여 | ◇ 論天地六氣 | |
6氣가 만나는 날짜 | ◇ 交六氣時日 | |
주기 | ○ 主氣 | |
객기 | ○ 客氣 | |
表와 本에 대하여 | ◇ 論標本 | |
陰陽이 뒤섞인 것 | ◇ 陰陽相錯 | |
5陰이 크고 작은 것 | ◇ 五音大小 | |
5運의 運을 規定하는 것 | ◇ 五運紀運 | |
1年 中 5運 | ◇ 歲中五運 | |
南政과 北政 | ◇ 論南北政 | |
6氣 承制 | ◇ 六氣承制 | |
5運 太過 不及 해 | ◇ 五運之歲太過不及 | |
60年間 運氣 主氣와 客氣, 사람 病 | ◇ 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 |
60年間 客氣를 가로 세로 보는 表 | ◇ 六十年客氣旁通圖 | |
運氣變化에 따라 돌림病 생긴다 | ◇ 運氣之變成疫 | |
醫師는 반드시 하늘과 땅의 運氣를 알아야 한다 | ◇ 醫當識天地間運氣 | |
집례 | ◈ 集例 | |
人體構成 | 人體構成 | |
五臟六腑 | 五臟六腑 | |
病例 | 病例 | |
내경편 | ◈ 內景篇 | |
신형 | ◈ 身形 | |
形氣始初 | ◇ 形氣之始 | |
妊娠始初 | ◇ 胎孕之始 | |
4大로부터 形이 생김 | ◇ 四大成形 | |
사람의 元氣 旺盛과 衰弱 | ◇ 人氣盛衰 | |
늙으면 子息 낳지 못함 | ◇ 年老無子 | |
오래 살고 일찍 죽는 差異 | ◇ 壽夭之異 | |
形과 氣가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 定함 | ◇ 形氣定壽夭 | |
사람 몸은 하나의 나라 | ◇ 人身猶一國 | |
丹田은 세 가지 | ◇ 丹田有三 | |
몸 뒷部分에 3關 | ◇ 背有三關 | |
精氣神 保養 | ◇ 保養精氣神 | |
옛날 眞人, 至人, 聖人, 賢人 | ◇ 古有眞人至人聖人賢人 | |
上古時代 사람들 素朴함 | ◇ 論上古天眞 | |
사철 氣候에 맞게 精神修養 | ◇ 四氣調神 | |
修養하는 方法으로 病治療 | ◇ 以道療病 | |
雜念이 없어야 修養하는 理致에 맞아 | ◇ 虛心合道 | |
養生法을 배우는 데는 빠르고 늦음 없어 | ◇ 學道無早晩 | |
사람 마음 天氣 附合 | ◇ 人心合天機 | |
반운복식 | ◇ 搬運服食 | |
안마도인 | ◇ 按摩導引 | |
養生하는 데 가장 緊要한 方法 | ◇ 攝養要訣 | |
養生하는 方法에 5가지 어려운 것 | ||
丹田으로 돌아오는 鍛鍊法 | ◇ 還丹內煉法 | |
攝生하는 데서 禁忌 | ◇ 養性禁忌 | |
사철에 맞게 몸을 調攝 | ◇ 四時節宣 | |
기 | ◈ 氣 | |
氣는 精과 神의 根本 | ◇ 氣爲精神之根 | |
氣는 飮食物에 의해 生 | ◇ 氣生於穀 | |
氣는 衛가 되어 몸의 겉을 護衛 | ◇ 氣爲衛衛於外 | |
衛氣가 돌아가는 횟수 | ◇ 衛氣行度 | |
십이정경맥 | ○ 十二正經脈 | |
기경팔맥 | ○ 奇經八脈 | |
榮과 衛는 따로 돌아 | ◇ 榮衛異行 | |
氣가 생기는 根源 | ◇ 生氣之原 | |
氣는 呼吸의 根源 | ◇ 氣爲呼吸之根 | |
胎息法 | ||
숨쉬기를 調節하는 秘訣 | ◇ 調氣訣 | |
肺는 氣를 主管 | ◇ 肺主氣 | |
맥 보는 법 | ◇ 脈法 | |
氣로부터 여러 가지 病이 生 | ◇ 氣爲諸病 | |
氣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 | ◇ 氣逸則滯 | |
七氣 | 七氣 | |
九氣 | 九氣 | |
中氣 | 中氣 | |
上氣 | 上氣 | |
下氣 | 下氣 | |
短氣 | 短氣 | |
少氣 | 少氣 | |
氣로 생긴 氣痛 | 氣로 생긴 氣痛 | |
氣가 치미는 것 | ◇ 氣逆 | |
기울 | ○ 氣鬱 | |
氣가 不足하면 病이 생 | ◇ 氣不足生病 | |
氣가 끊어진 症候 | ◇ 氣絶候 | |
꺼려야 할 것 | ◇ 禁忌 | |
六字氣訣 | 六字氣訣 | |
신 | ◈ 神 | |
神은 온몸을 主管 | ◇ 神爲一身之主 | |
다섯 가지 맛에서 神이 生 | ◇ 五味生神 | |
心은 神을 간직 | ◇ 心藏神 | |
사람 몸에 있는 神 이름 | ◇ 人身神名 | |
五臟은 7가지 神을 간직 | ◇ 五藏藏七神 | |
五臟의 氣가 끊어지면 神이 겉 部分에 나타나 | ◇ 藏氣絶則神見於外 | |
脈 보는 법 | ◇ 脈法 | |
神이 七情을 거느리므로 神이 傷하면 病 | ◇ 神 統七情傷則爲病 | |
境界증 | ◇ 驚悸 | |
보통方法으로 놀라는 증 治療 | ◇ 常法治驚 | |
正沖證 | ◇ 正沖 | |
건망증 | ◇ 健忘症 | |
전광 | ○ 癲狂 | |
크게 泄瀉시켜 狂症을 낫게 | ◇ 大下愈狂 | |
탈영증과 실정증 | ◇ 脫營失精證 | |
5가지의 志를 서로 勝하게 해서 治療 | ◇ 五志相勝爲治 | |
神病에 治療하지 못하는 證 | ◇ 神病不治證 | |
잠 | ◈ 睡眠과 꿈 | |
精神이 꿈이 됨 | ◇ 魂魄爲夢 | |
淫邪는 꿈을 꾸게 함 | ◇ 淫邪發夢 | |
五臟이 虛하거나 實하면 꿈을 꿈 | ◇ 五藏虛實爲夢 | |
陽氣가 드나드는 데 따라 자거나 깸 | ◇ 陽氣之出入爲寤寐 | |
精神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 | ◇ 昏沈多睡 | |
虛煩으로 잠을 못자는 것 | ◇ 虛煩不睡 | |
마음이 들떠서 잠을 못자는 것 | ◇ 魂離不睡 | |
지나치게 생각해서 잠을 못자는 것 | ◇ 思結不睡 | |
늙은이와 젊은이 잠 자는 것 다름 | ◇ 老少之睡不同 | |
잠자는 것 陰陽과 虛實 | ◇ 睡辨陰陽虛實 | |
잠을 便安하게 못자는 것 | ◇ 臥不安 | |
몸이 무거우면 눕기를 좋아함 | ◇ 身重嗜臥 | |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 | ◇ 惡人欲獨處 | |
잠을 자는 法 | ◇ 寢睡法 | |
나쁜 꿈을 꾸지 않는 法 | ◇ 斷惡夢 | |
목소리 | ◈ 聲音 | |
목소리는 腎에서 나옴 | ◇ 聲音出於腎 | |
목소리를 듣고 病證을 갈라 내 | ◇ 聽聲音辨病證 | |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 ◇ 卒然無音 | |
雜病으로 목이 쉰 것 | ◇ 因雜病失音 | |
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 | ◇ 厥氣爲啞 | |
벙어리에는 두 가지 | ◇ 吟啞有二 | |
목 쉰 소리 | ◇ 聲嘶 | |
腎劫證은 목 쉰 것과 비슷 | ◇ 腎怯與失音相似 | |
숨쉴 때 소리가 나는 症狀 | ◇ 息有音 | |
治療를 못하는 證 | ◇ 不治證 | |
언어 | ◈ 言語 | |
肺는 소리를 主管하여 말이 되게 함 | ◇ 肺主聲爲言 | |
말을 허투루 하는 것 | ◇ 言語 妄 | |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 | ◇ 音不得語 | |
痰이 막히거나 亡血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함 | ◇ 痰塞亡血赤爲 | |
脈 보는 法 | ◇ 脈法 | |
정성 | ◇ 鄭聲 | |
말소리가 弱한 것 | ◇ 言微 | |
외치는 것 | ◇ 呼 | |
웃음 | ◇ 笑 | |
노래하는 것 | ◇ 歌 | |
우는 것 | ◇ 哭 | |
呻吟소리 | ◇ 呻 | |
하품 | ◇ 欠 | |
재채기 | ◇ 체 | |
트림 | ◇ 噫 | |
한숨 | ◇ 太息 | |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 | ◇ 大驚不語 | |
中風으로 말을 못하는 症狀 | ◇ 中風不語 | |
말이 잘 되지 않는 것은 다.風에 속 | ◇ 語澁皆屬風 | |
婦人이 몸풀기 전과 몸푼 뒤 말 못하는 證 | ◇ 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 |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 | ◇ 小兒語遲 | |
말을 하게 하는 方法 | ◇ 言語法 | |
治療할 수 없는 證 | ◇ 不治證 | |
정 | ◈ 精 | |
精은 身體根本 | ◇ 精爲身本 | |
精은 至極한 寶盃 | ◇ 精爲至寶 | |
5臟에 모두 精 | ◇ 五藏皆有精 | |
脈 보는 法 | ◇ 脈法 | |
精液 잘 간직 | ◇ 精宜秘密 | |
性慾調節 精液 간직 | ◇ 節慾儲精 | |
精 鍛鍊 秘方 | ◇ 煉精有訣 | |
飮食物로 精을 補 | ◇ 補精以味 | |
精의 遺泄은 心에 屬 | ◇ 遺泄精屬心 | |
夢泄은 心에 屬 | ◇ 夢泄屬心 | |
夢泄은 鬱症과도 關聯 | ◇ 夢泄亦屬鬱 | |
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虛症 | ◇ 精滑脫屬虛 | |
혈 | ◈ 血 | |
陰血은 飮食물에서 生 | ◇ 陰血生於水穀 | |
血은 榮이 된다 | ◇ 血爲榮 | |
血은 氣와 짝 | ◇ 血爲氣配 | |
脈 보는 法 | ◇ 脈法 | |
熱에 血이 傷 | ◇ 熱能傷血 | |
七情은 血을 動하게 해 | ◇ 七情動血 | |
內傷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 | ◇ 內傷失血 | |
피를 흘리는 여러 가지 症狀 | ◇ 失血諸證 | |
핏빛을 보고 갓 생긴 것과 오래된 것을 갈라 내는 方法 | ◇ 辨血色新舊 | |
축혈증 | ○ 蓄血證 | |
血病의 吉凶 | ◇ 血病吉凶 | |
亡血證과 脫血證 | ◇ 亡血脫血證 | |
코피 | ◇ 뉵血 | |
코피를 멈추는 方法 | ◇ 止뉵法 | |
嘔血과 吐血 | ◇ 嘔血吐血 | |
박궐증 | ○ 薄厥證 | |
해혈 | ○ 咳血수혈 | |
피오줌 | ◇ 尿血 피똥 | |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 | ◇ 齒뉵 | |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 | ◇ 舌뉵 | |
혈한 | ○ 血汗 | |
九竅에서 피가 나오는 것 | ◇ 九竅出血 | |
다친 상처로 피나오는 것 | ○ 外傷 | |
피를 흘린 뒤의 어지럼증 | ◇ 失血眩暈 | |
검은 藥은 피를 멎게 한다 | ◇ 黑藥止血 | |
꺼려야 할 것 | ◇ 禁忌 | |
피가 나오는 데 藥을 쓰는 方法 | ◇ 治血藥法 | |
진액 | ◈ 津液 | |
몸 안에 있는 津液 | ◇ 身中津液 | |
腎은 液을 主管 | ◇ 腎主液 | |
脈 보는 法 | ◇ 脈法 | |
땀은 濕熱 때문에 나옴 | ◇ 汗因濕熱 | |
저절로 나는 땀 | ◇ 自汗 | |
식은땀 | ◇ 盜汗 | |
어린이 식은땀 | ◇ 童子盜汗 | |
머리에서 땀 나는 것 | ◇ 頭汗 | |
心汗 | ○ 心汗 | |
손발에서 땀 나는 것 | ◇ 手足汗 | |
陰囊 部位에서 땀 나는 것 | ◇ 陰汗 | |
穴汗 | ○ 血汗 | |
黃汗 | ○ 黃汗 | |
누풍증 | ○ 漏風證 | |
망양증 | ○ 亡陽證 | |
땀을 멈추는 方法 | ◇ 止汗法 | |
땀이 나지 않는 것 | ◇ 無汗 | |
절한 | ○ 絶汗 | |
유한 | ○ 柔汗 | |
땀이 나는 豫後가 좋지 못한 證 | ◇ 汗出凶證 | |
꺼릴 것 | ◇ 禁忌 | |
氣가 모여서 液을 生 | ◇ 積氣生液 | |
눈물 | ◇ 泣 | |
콧물 | ◇ 涕 | |
멀건 침 | ◇ 涎 | |
느침 | ◇ 唾 | |
津液을 돌리는 方法 | ◇ 廻津法 | |
담음 | ◈ 痰飮 | |
痰과 涎, 飮 세 가지는 다름 | ◇ 痰涎飮三者不同 | |
痰과 飮 맑고, 흐린 것 | ◇ 痰飮分淸濁 | |
痰에 대한 王隱君 理論 | ◇ 王隱君痰論 | |
8가지 飮病 | ◇ 飮病有八 | |
유음 | ○ 留飮 | |
벽음 | ○ 癖飮 | |
담음 | ○ 痰飮 | |
일음 | ○ 溢飮 | |
현음 | ○ 懸飮 | |
지음 | ○ 支飮 | |
복음 | ○ 伏飮 | |
10가지 痰病 | ◇ 痰病有十 | |
풍담 | ○ 風痰 | |
한담 | ○ 寒痰 | |
습담 | ○ 濕痰 | |
열담 | ○ 熱痰 | |
울담 | ○ 鬱痰 | |
기담 | ○ 氣痰 | |
식담 | ○ 食痰 | |
주담 | ○ 酒痰 | |
경담 | ○ 驚痰 | |
脈 보는 法 | ◇ 脈法 | |
痰飮病 때 겉으로 나타나는 症狀 | ◇ 痰飮外證 | |
痰飮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病 | ◇ 痰飮諸病 | |
가래의 빛을 갈라 본 것 | ◇ 辨痰色 | |
담음유주증 | ◇ 痰飮流注證 | |
痰病에는 邪水證 같은 것이 있다는 것 | ◇ 痰病有似邪崇 | |
담궐 | ○ 痰厥 | |
담괴 | ○ 痰塊 | |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 | ◇ 喜唾痰 | |
痰이 뭉친 것 | ◇ 痰結 | |
痰病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 | ◇ 痰病不卒死 | |
痰病 때 治療하기 어려운 症狀 | ◇ 痰病難治證 | |
痰飮을 吐하게 하는 方法 | ◇ 痰飮吐法 | |
痰飮을 治療하는 方法 | ◇ 痰飮治法 | |
痰飮에 두루 쓰는 藥 | ◇ 痰飮通治藥 | |
오줌 | ◈ 小便 | |
오줌이 만들어지는 經緯 | ◇ 小便原委 | |
膀胱에는 오줌을 담아 둔다 | ◇ 胞爲尿器 | |
오줌빛을 鑑別하는 法 | ◇ 辨尿色 | |
脈 보는 법 | ◇ 脈法 | |
오줌을 누기 힘든 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症候 | ◇ 小便難外候 | |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 | ◇ 小便不利 | |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 | ◇ 小便不通 | |
늙은이와 虛弱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 | ◇ 老虛人瀜閉 | |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는 吐하게 해야 한다 | ◇ 閉宜吐 | |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는 泄瀉를 시켜야 한다 | ◇ 瀜閉宜瀉 | |
전포증 | ○ 轉胞證 | |
관격증 | ○ 關格證 | |
關格이 되었을 때는 吐하고 泄瀉시켜야 한다 | ◇ 關格宜吐瀉 | |
씻고 찜질하는 法 | ◇ 洗爲法 | |
배꼽을 싸매는 法 | ◇ 掩臍法 | |
治療하기 어렵거나 治療할 수 없는 證 | ◇ 難治不治證 | |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 | ◇ 小便不禁 | |
여러 가지 淋病 | ◇ 諸淋證 | |
淋病에는 8가지가 있다 | ◇ 淋病有八 | |
노림 | ○ 勞淋 | |
혈림 | ○ 血淋 | |
열림 | ○ 熱淋 | |
기림 | ○ 氣淋 | |
석림 | ○ 石淋 | |
고림 | ○ 膏淋 | |
사림 | ○ 沙淋 | |
냉림 | ○ 冷淋 | |
여러 가지 淋病을 두루 治療하는 것 | ◇ 諸淋通治 | |
적탁과 백탁 | ◇ 赤白濁 | |
고병백음 | ○ 蠱病白淫 | |
포脾證 | ○ 胞痺證 | |
陰莖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 | ◇ 莖中痒痛 | |
교장증 | ○ 交腸證 | |
소변 많고 적은 것 | ◇ 小便多寡 | |
마신 뒤 곧 소변 나오는 것 | ◇ 飮後卽小便 | |
대변 | ◈ 大便 | |
大便이 만들어지는 經緯 | ◇ 大便原委 | |
大便病의 原因 | ◇ 大便病因 | |
大便빛으로 갈라 보는 方法 | ◇ 辨便色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泄瀉證에는 5가지가 있다 | ◇ 泄證有五 | |
여러 가지 泄瀉證 | ◇ 泄瀉諸證 | |
습설 | ○ 濕泄 | |
풍설 | ○ 風泄 | |
한설 | ○ 寒泄 | |
서설 | ○ 暑泄 | |
화설 | ○ 火泄 | |
허설 | ○ 虛泄 | |
활설 | ○ 滑泄 | |
손설 | ○ 飡泄 | |
담설 | ○ 痰泄 | |
식적설 | ○ 食積泄 | |
주설 | ○ 酒泄 | |
비설 | ○ 脾泄 | |
신설 | ○ 腎泄 | |
폭설 | ○ 暴泄 | |
구설 | ○ 久泄 | |
泄瀉에는 陽氣를 끌어올리는 藥을 써야 한다 | ◇ 泄瀉宜用升陽之藥 | |
泄瀉와 痢疾은 같지 않다 | ◇ 瀉與痢不同 | |
오랜 泄瀉가 痢疾이 된다 | ◇ 久泄成痢 | |
痢疾의 여러 가지 病證 | ◇ 痢疾諸證 | |
적리 | ○ 赤痢 | |
백리 | ○ 白痢 | |
적백리 | ○ 赤白痢 | |
수곡리 | ○ 水穀痢 | |
농혈리 | ○ 膿血痢 | |
금구리 | ○ 금口痢 | |
휴식리 | ○ 休息痢 | |
풍리 | ○ 風痢 | |
한리 | ○ 寒痢 | |
습리 | ○ 濕痢 | |
열리 | ○ 熱痢 | |
기리 | ○ 氣痢 | |
허리 | ○ 虛痢 | |
적리 | ○ 積痢 | |
구리 | ○ 久痢 | |
역리 | ○ 疫痢 | |
고주리 | ○ 蠱 痢 | |
5색리 | ○ 五色痢 | |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症候 | ◇ 八痢危證 | |
이질 때 배가 아픈 것 | ◇ 痢疾腹痛 | |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듯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 | ◇ 痢疾裏急後重 | |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 | ◇ 痢疾大孔痛 | |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 | ◇ 痢疾宜下 | |
이질을 治療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方法 | ◇ 治痢要訣 | |
이질 때 두루 쓰는 약 | ◇ 痢疾通治藥 | |
설사나 이질 때 治療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 | ◇ 泄痢易治難治辨 | |
설사나 이질의 豫後가 좋거나 나쁜 증 | ◇ 泄痢吉凶證 | |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 | ◇ 飯後隨卽大便 | |
변비 | ◇ 大便秘結 | |
늙은이의 변비 | ◇ 老人秘結 | |
비약증 | ○ 脾約證 | |
대변불통 | ○ 大便不通 | |
대소변을 누지 못하는 것 | ◇ 大小便不通 | |
도변법 | ○ 導便法, 관장법 | |
五臟 六腑 | ◈ 五臟六腑 | |
醫師는 반드시 五臟六腑를 알아야 | ◇ 醫當識五臟六腑 | |
臟腑 陰과 陽 | ◇ 臟腑陰陽 | |
臟과 腑는 다른 作用 | ◇ 臟腑異用 | |
臟과 腑 짝 | ◇ 臟腑有合 | |
五臟은 七竅와 通 | ◇ 五臟通七竅 | |
五臟에 속한 器官 | ◇ 五臟有官 | |
五臟이 작고 큰 것 | ◇ 五臟有小大 | |
臟에는 또한 9가지 | ◇ 贓又有九 | |
腑에는 6가지 | ◇ 腑又有六 | |
창자의 길이와 飮食物을 받아들일 수 있는 量 | ◇ 腸胃之長水穀之數 | |
邪氣에 五臟이 傷한다는 것 | ◇ 五臟中邪 | |
五臟의 正經에 절로 病이 생기는 것 | ◇ 五臟正經自病 | |
臟과 腑의 病을 脈으로 가른다는 것 | ◇ 脈辨臟腑 | |
臟과 腑의 다른 病證 | ◇ 臟腑異證 | |
臟病은 治療하기 어렵고, 腑病은 쉽다 | ◇ 臟腑病治有難易 | |
五臟六腑의 相互關係 | ◇ 臟腑相關 | |
五臟병이 輕해지거나 重해지는 것 | ◇ 五臟病間甚 | |
五臟의 氣가 죽는 時期 | ◇ 五臟死期 | |
帳簿의 氣運이 끊어진 症候 | ◇ 臟腑氣絶候 | |
肝臟 | ◈ 肝臟 | |
肝臟의 形態 | ◇ 肝形象 | |
肝의 位置 | ◇ 肝部位 | |
肝이 主管하는 날짜 | ◇ 肝主時日 | |
肝에 속한 것들 | ◇ 肝屬物類 | |
肝이 크고 작은 것 | ◇ 肝臟大小 | |
肝이 傷한 症狀 | ◇ 肝傷證 | |
肝病의 症狀 | ◇ 肝病證 | |
肝病의 虛證과 實證 | ◇ 肝病虛實 | |
肝病이 經해지고 重해지는 것 | ◇ 肝病間甚 | |
肝病을 治療하는 法 | ◇ 肝病治法 | |
肝氣가 끊어진 症候 | ◇ 肝絶候 | |
肝臟을 修養하는 法 | ◇ 肝臟修養法 | |
肝臟에 대한 導引法 | ◇ 肝臟導引法 | |
心臟 | ◈ 心臟 | |
心臟의 形態 | ◇ 心形象 | |
心臟의 位置 | ◇ 心部位 | |
心이 主管하는 날짜 | ◇ 心主時日 | |
心에 속한 것들 | ◇ 心屬物類 | |
心臟이 크고 작은 것 | ◇ 心臟大小 | |
心이 傷한 症狀 | ◇ 心傷證 | |
心病의 症狀 | ◇ 心病證 | |
心病의 虛證과 實證 | ◇ 心病虛實 | |
心病이 輕해지고 重해지는 것 | ◇ 心病間甚 | |
手少陰은 輸穴이 없다 | ◇ 手少陰無輸 | |
心病을 治療하는 方法 | ◇ 心病治法 | |
心氣가 끊어진 症候 | ◇ 心絶候 | |
心臟을 修養하는 法 | ◇ 心臟修養法 | |
心臟에 대한 導引法 | ◇ 心臟導引法 | |
脾臟 | ◈ 脾臟 | |
脾臟의 形態 | ◇ 脾形象 | |
脾臟의 位置 | ◇ 脾部位 | |
脾가 主管하는 날짜 | ◇ 脾主時日 | |
脾에 屬한 것들 | ◇ 脾屬物類 | |
脾臟이 크고 작은 것 | ◇ 脾臟大小 | |
脾가 傷한 症狀 | ◇ 脾傷證 | |
脾病의 症狀 | ◇ 脾病證 | |
脾病의 虛證과 實證 | ◇ 脾病虛實 | |
脾病이 輕해지고 重해지는 것 | ◇ 脾病間甚 | |
脾病을 治療하는 方法 | ◇ 脾病治法 | |
脾氣가 끊어진 症候 | ◇ 脾絶候 | |
脾臟을 修養하는 法 | ◇ 脾臟修養法 | |
脾臟에 대한 脾臟導引法 | ◇ 脾臟導引法 | |
肺장 | ◈ 肺臟 | |
肺臟의 形態 | ◇ 肺形象 | |
肺의 位置 | ◇ 肺部位 | |
肺가 主管하는 날짜 | ◇ 肺主時日 | |
肺에 속한 것들 | ◇ 肺屬物類 | |
肺臟이 크고 작은 것 | ◇ 肺臟大小 | |
肺가 傷한 症狀 | ◇ 肺傷證 | |
肺病의 症狀 | ◇ 肺病證 | |
肺病의 虛證과 實證 | ◇ 肺病虛實 | |
肺病이 輕해지고 重해지는 것 | ◇ 肺病間甚 | |
肺病을 治療하는 法 | ◇ 肺病治法 | |
肺의 氣가 끊어진 症候 | ◇ 肺絶候 | |
肺를 修養하는 法 | ◇ 肺臟修養法 | |
肺에 對한 導引法 | ◇ 肺臟導引法 | |
腎腸 | ◈ 腎臟 | |
腎腸의 形態 | ◇ 腎形象 | |
腎腸은 2개가 있다 | ◇ 腎臟有二 | |
腎腸의 位置 | ◇ 腎部位 | |
腎腸이 主管하는 날짜 | ◇ 腎主時日 | |
腎腸에 屬한 것들 | ◇ 腎屬物類 | |
腎腸이 크고 작은 것 | ◇ 腎臟大小 | |
腎腸이 傷한 症狀 | ◇ 腎傷證 | |
腎病의 症狀 | ◇ 腎病證 | |
腎病의 虛證과 實證 | ◇ 腎病虛實 | |
腎病이 輕해지고 重해지는 것 | ◇ 腎病間甚 | |
腎病을 治療하는 方法 | ◇ 腎病治法 | |
두 臟器의 腑는 하나다 | ◇ 兩臟同一腑 | |
腎氣가 끊어진 症候 | ◇ 腎絶候 | |
腎腸을 修養하는 法 | ◇ 腎臟修養法 | |
腎腸에 對한 導引法 | ◇ 腎臟導引法 | |
담부 | ◈ 膽腑 | |
膽의 形態 | ◇ 膽形象 | |
膽의 位置 | ◇ 膽部位 | |
膽은 決斷하는 것을 主管한다 | ◇ 膽主決斷 | |
膽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것 | ◇ 膽外候 | |
膽이 傷한 症候 | ◇ 膽傷證 | |
膽病의 症狀 | ◇ 膽病證 | |
膽病의 虛證과 實證 | ◇ 膽病虛實 | |
膽病을 治療하는 法 | ◇ 膽病治法 | |
膽氣가 끊어진 症候 | ◇ 膽絶候 | |
膽腑에 對한 導引法 | ◇ 膽腑導引法 | |
위부 | ◈ 胃腑 | |
胃의 形態 | ◇ 胃形象 | |
胃의 位置 | ◇ 胃部位 | |
胃는 飮食物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 ◇ 胃爲水穀之海 | |
胃가 크고 작은 것 | ◇ 胃腑大小 | |
胃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症候 | ◇ 胃外候 | |
胃가 傷한 症候 | ◇ 胃傷證 | |
胃病의 症狀 | ◇ 胃病證 | |
胃病의 虛證과 實證 | ◇ 胃病虛實 | |
胃病을 治療하는 法 | ◇ 胃病治法 | |
胃의 氣가 끊어진 症候 | ◇ 胃絶候 | |
소臟腑 | ○ 小腸腑 | |
小腸의 形態 | ◇ 小腸形象 | |
小腸의 位置 | ◇ 小腸部位 | |
小腸이 傳하고 받는 것 | ◇ 小腸傳受 | |
小腸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症候 | ◇ 小腸外候 | |
小腸病의 症狀 | ◇ 小腸病證 | |
小腸病을 治療하는 法 | ◇ 小腸病治法 | |
小腸의 氣가 끊어지는 症候 | ◇ 小腸絶候 | |
대臟腑 | ○ 大腸腑 | |
大腸의 形態 | ◇ 大腸形象 | |
大腸의 位置 | ◇ 大腸部位 | |
大小腸에 달린 줄 | ◇ 大小腸連系 | |
大腸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症候 | ◇ 大腸外候 | |
大腸病의 症狀 | ◇ 大腸病證 | |
大腸病을 治療하는 法 | ◇ 大腸病治法 | |
大腸의 氣運이 끊어지는 症候 | ◇ 大腸絶候 | |
방광부 | ○ 膀胱腑 | |
膀胱의 形態 | ◇ 膀胱形象 | |
膀胱의 位置 | ◇ 膀胱部位 | |
膀胱이 傳하고 받는 것 | ◇ 膀胱傳受 | |
膀胱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症候 | ◇ 膀胱外候 | |
膀胱病의 症狀 | ◇ 膀胱病證 | |
膀胱病을 治療하는 法 | ◇ 膀胱病治法 | |
膀胱의 氣가 끊어진 症候 | ◇ 膀胱絶候 | |
三焦부 | ○ 三焦腑 | |
三焦의 形態 | ◇ 三焦形象 | |
三焦의 位置 | ◇ 三焦部位 | |
三焦가 받고 傳하는 것 | ◇ 三焦傳受 | |
三焦의 狀態가 겉으로 나타난 症候 | ◇ 三焦外候 | |
三焦病의 症狀 | ◇ 三焦病證 | |
三焦病을 治療하는 方法 | ◇ 三焦病治法 | |
포 | ○ 胞 | |
胞의 形態 | ◇ 胞形象 | |
胞의 位置 | ◇ 胞部位 | |
胞는 血室이다 | ◇ 胞爲血室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月經하는 것이 差異가 있다 | ◇ 經行有異 | |
月經의 形態와 빛깔 | ◇ 月候形色 | |
月經빛을 좋아지게 하는 治療法 | ◇ 和血治法 | |
月經이 고르롭지 못한 것 | ◇ 月候不調 | |
月經을 고르롭게 하는 治療法 | ◇ 調血治法 | |
月經이 中斷된 것 | ◇ 血閉 | |
月經을 잘 通하게 하는 治療法 | ◇ 通血治法 | |
處女가 月經이 나오지 않는 것 | ◇ 室女月經不行 | |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 | ◇ 血結成 | |
血枯 | ○ 血枯 | |
血崩과 血漏 | ◇ 血崩血漏 | |
崩漏를 治療하는 方法 | ◇ 崩漏治法 | |
붉고 흰 이슬 | ○ 赤白帶下 | |
이슬을 治療하는 方法 | ◇ 帶下治法 | |
吐하게 하고 泄瀉시켜 흰 이슬을 治療한다는 것 | ◇ 吐下療白帶 | |
5가지 빛깔의 이슬 | ◇ 五色帶下 | |
子宮에 찬 氣運이 들어간 것 | ◇ 寒入血室 | |
子宮에 熱이 들어간 것 | ◇ 熱入血室 | |
月經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 | ◇ 經斷復行 | |
외형편 | ◈ 外形篇 | |
머리 | ◈ 頭 | |
머리는 天谷으로서 神을 간직하고 있다 | ◇ 頭爲天谷以藏神 | |
머리에는 9개의 宮이 있다 | ◇ 頭有九宮 | |
惱는 骨髓의 바다이다 | ◇ 腦爲髓海 | |
머리의 置數 | ◇ 頭部度數 | |
머리의 病이 밖으로 나타나는 症候 | ◇ 頭病外候 | |
脈 보는 法 | ◇ 脈法 | |
두풍증 | ○ 頭風證 | |
어지럼증 | ◇ 眩暈 | |
풍훈 | ○ 風暈 | |
열훈 | ○ 熱暈 | |
담훈 | ○ 痰暈 | |
기훈 | ○ 氣暈 | |
허훈 | ○ 虛暈 | |
습훈 | ○ 濕暈 | |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 | ◇ 頭目不淸利 | |
정두통 | ○ 正頭痛 | |
편두통 | ○ 偏頭痛 | |
풍한두통 | ○ 風寒頭痛 | |
습열두통 | ○ 濕熱頭痛 | |
궐역두통 | ○ 厥逆頭痛 | |
담궐두통 | ○ 痰厥頭痛 | |
기궐두통 | ○ 氣厥頭痛 | |
열궐두통 | ○ 熱厥頭痛 | |
습궐두통 | ○ 濕厥頭痛 | |
진두통 | ○ 眞頭痛 | |
취후두통 | ○ 醉後頭痛 | |
뇌풍증 | ○ 腦風證 | |
수풍증 | ○ 首風證 | |
미릉골통 | ○ 眉稜骨痛 | |
頭痛 때 治療할 수 없는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頭痛不治難治證 | |
風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 | ◇ 風頭旋 | |
숫구멍이 벌어지는 것 | ◇ 腦縫開裂 | |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 | ◇ 頭生白屑 | |
코에 藥을 넣는 方法 | ◇ 吹鼻法 | |
吐하게 하는 方法 | ◇ 吐法 | |
泄瀉 시키는 方法 | ◇ 下法 | |
얼굴 | ◈ 面 | |
明堂의 位置 | ◇ 明堂部位 | |
얼굴은 모든 陽이 모이는 곳이다 | ◇ 面爲諸陽之會 | |
얼굴은 추위를 견딘다 | ◇ 人面耐寒 | |
얼굴에 생긴 病은 주로 胃에 屬한다 | ◇ 面病專屬胃 | |
얼굴의 度數 | ◇ 面部度數 | |
얼굴에 熱이 있는 것 | ◇ 面熱 | |
얼굴이 시린 것 | ◇ 面寒 | |
얼굴에 5가지 빛이 나타나는 것 | ◇ 面見五色 | |
얼굴에 생긴 戴陽證 | ◇ 面戴陽證 | |
위풍증 | ○ 胃風證 | |
신풍증 | ○ 腎風證 | |
탑시종 | ○ 搭腫 | |
얼굴에 생기는 雜病 | ◇ 面上雜病 | |
두드리기 | ◇ 按摩法 | |
얼굴에 나타나는 나쁜 症狀 | ◇ 面部凶證 | |
눈 | ◈ 眼 | |
눈에는 臟腑의 精氣가 나타난다 | ◇ 眼爲臟腑之精 | |
기륜 | ○ 氣輪 | |
풍륜 | ○ 風輪 | |
육륜 | ○ 肉輪 | |
혈륜 | ○ 血輪 | |
수륜 | ○ 水輪 | |
팔곽 | ○ 八廓 | |
천곽 | ○ 天廓 | |
택곽 | ○ 澤廓 | |
화곽 | ○ 火廓 | |
뇌곽 | ○ 雷廓 | |
풍곽 | ○ 風廓 | |
수곽 | ○ 水廓 | |
산곽 | ○ 山廓 | |
지곽 | ○ 地廓 | |
눈알은 五臟에 屬한다 | ◇ 眼睛屬五臟 | |
눈에는 內子와 外子가 있다 | ◇ 眼有內外子 | |
모든 脈은 눈에 屬한다 | ◇ 諸脈屬目 | |
脈 보는 法 | ◇ 脈法 | |
눈은 肝의 狀態가 나타나는 구멍이다 | ◇ 目者肝之竅 | |
눈病에는 寒證이 없다 | ◇ 眼病無寒 | |
눈病은 火가 없이는 生기지 않는다 | ◇ 眼無火不病 | |
눈病의 原因 | ◇ 眼病所因 | |
눈病은 表裏와 虛實을 區分해야 한다 | ◇ 眼病當分表裏虛實 | |
눈病 때 治療하기 쉬운 것과 治療하기 어려운 것 | ◇ 眼病易治難治辨 | |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 같은 것 | ◇ 眼中生火 | |
눈病 때 꺼려야 할 것 | ◇ 眼病禁忌 | |
눈病을 調理하는 方法 | ◇ 眼病調養 | |
눈을 보고 病의 豫後가 나쁜 것을 안다 | ◇ 目視凶證 | |
눈에 넣는 藥 | ◇ 點眼藥 | |
귀 | ◈ 耳 | |
귀와 눈은 陽氣를 받아야, 聰明해진다 | ◇ 耳目受陽氣以聰明 | |
귀는 腎과 關聯된 구멍이다 | ◇ 耳者腎之竅 | |
脈 보는 法 | ◇ 脈法 | |
귀울이 | ◇ 耳鳴 | |
귀가 먹은 것 | ◇ 耳聾 | |
風으로 귀가 먹은 것 | ◇ 風聾 | |
濕으로 귀가 먹은 것 | ◇ 濕聾 | |
虛하여 귀가 먹은 것 | ◇ 虛聾 | |
지나치게 힘든 일로 귀가 먹은 것 | ◇ 勞聾 | |
厥疫으로 귀가 먹은 것 | ◇ 厥聾 | |
갑자기 귀가 먹은 것 | ◇ 卒聾 | |
소리가 重複해 들릴 때 | ◇ 耳重聽 | |
귀에서 津물이 흐르는 것 | ◇ 釘耳 | |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 | ◇ 耳痛成膿耳 | |
귀가 가려운 것 | ◇ 耳痒 | |
막힌 것을 열어 주고 氣를 通하게 하는 藥 | ◇ 透關通氣藥 | |
修養하는 方法 | ◇ 修養法 | |
治療하지 못하는 證 | ◇ 不治證 | |
귀에 여러 가지 벌레가 들어간 것 | ◇ 諸蟲入耳 | |
코 | ◈ 鼻 | |
코는 神廬라고도 한다 | ◇ 鼻曰神廬 | |
코는 玄牝의 門戶이다 | ◇ 鼻爲玄牝之門戶 | |
코는 肺와 通하는 구멍이다 | ◇ 鼻爲肺之竅 | |
脈 보는 法 | ◇ 脈法 | |
脾淵證 | ◇ 鼻淵 | |
비구 | ○ 鼻溝 | |
코피 | ○ 鼻뉵 | |
코가 메는 것 | ◇ 鼻塞 | |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 쓰는 處方 | ◇ 鼻不聞香臭方 | |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 | ◇ 鼻痔 | |
코 안이 허는 것 | ◇ 鼻瘡 | |
코가 아픈 것 | ◇ 鼻痛 | |
비사 | ○ 鼻邪 | |
얼굴과 코에 검은 자줏빛이 나는 것 | ◇ 面鼻紫黑 | |
콧물이 나오는 것 | ◇ 鼻涕 | |
재채기 | ◇ 鼻체 | |
코의 빛깔을 보고, 病을 알아내는 것 | ◇ 鼻色占病 | |
修養하는 方法 | ◇ 修養法 | |
입과 혀 | ◈ 口舌 | |
입은 玉池라고도 한다 | ◇ 口曰玉池 | |
혀는 心에 屬한다 | ◇ 舌屬心 | |
입술은 鼻에 屬한다 | ◇ 口唇屬脾 | |
脈 보는 法 | ◇ 脈法 | |
입과 혀는 5가지 맛을 主管한다 | ◇ 口舌主五味 | |
입맛이 신 것 | ◇ 口酸 | |
입맛이 쓴 것 | ◇ 口苦 | |
입맛이 단것 | ◇ 口甘 | |
입맛이 매운 것 | ◇ 口辛 | |
입맛이 짠 것 | ◇ 口鹹 | |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 | ◇ 口臭 | |
입 안이 헤진 것 | ◇ 口미 | |
虛火로 입 안 허는 것 | ◇ 虛火口瘡 | |
입술 붓거나 허는 것 | ◇ 唇腫唇瘡 | |
견순 | ○ 繭唇 | |
혀가 부은 것 | ◇ 舌腫 | |
중설 | ○ 重舌 | |
목설 | ○ 木舌 | |
혀에서 피 나오는 것 | ◇ 舌뉵 | |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 | ◇ 舌長舌短 | |
舌胎가 낀 것 | ◇ 舌上生胎 | |
혀를 문지르는 方法 | ◇ 擦舌法 | |
혓바늘이 돋는 것 | ◇ 舌生芒刺 | |
입과 혀의 置數 | ◇ 口舌寸數 | |
하품하다, 턱 어긋난 것 | ◇ 失欠脫함 | |
저절로 혀와 볼 깨무는 것 | ◇ 自齧舌頰 | |
침을 흘리는 것 | ◇ 口流涎 | |
입을 열지 못할 경우 | ◇ 口금不開 | |
입술과 혀를 보고, 病을 알아내는 것 | ◇ 視唇舌占病 | |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病 | ◇ 小兒口舌病 | |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藥 | ◇ 口舌瘡삼付藥 | |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治療하는 方法 | ◇ 口舌瘡外治法 | |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 | ◇ 酒客喉舌生瘡 | |
입에 벌레 들어간 것 | ◇ 諸蟲入口 | |
혀가 끊어진 것, 잇는 方法 | ◇ 補舌斷方 | |
이빨 | ◈ 牙齒 | |
이빨은 뼈의 나머지다 | ◇ 齒者骨之餘 | |
아래위 잇몸은 手陽明經과 足陽明經에 屬한다 | ◇ 上下 屬手足陽明 | |
이빨에 病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 | ◇ 齒病惡寒惡熱 | |
이빨이 튼튼해지고 弱해지는 것 | ◇ 牙齒盛衰 | |
이빨은 이름이 各其 다르다 | ◇ 牙齒異名 | |
脈 보는 法 | ◇ 脈法 | |
齒痛에는 7가지가 있다 | ◇ 牙齒痛有七 | |
風熱로 이빨이 아픈 것 | ◇ 風熱痛 | |
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 | ◇ 風冷痛 | |
熱로 이빨이 아픈 것 | ◇ 熱痛 | |
찬 氣運으로 이빨이 아픈 것 | ◇ 寒痛 | |
膽毒으로 이빨이 아픈 것 | ◇ 毒痰痛 | |
瘀血로 이빨이 아픈 것 | ◇ 瘀血痛 | |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 | ◇ 蟲蝕痛 | |
이빨이 흔들리는 것 | ◇ 牙齒動搖 | |
이빨이 빠지는 것 | ◇ 牙齒脫落 | |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處方 | ◇ 塞耳鼻止牙痛方 | |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方法 | ◇ 出牙蟲殺蟲法 | |
이빨에 생긴 疳닉瘡 | ◇ 牙齒疳닉瘡 | |
이빨 누렇거나 거멓게 된 것 | ◇ 齒黃黑 | |
齒壅을 삭게 하는 方法 | ◇ 消齒壅法 | |
이빨이 漸次 자라는 것 | ◇ 牙齒漸長 | |
투치 | ○ 鬪齒 | |
치뉵 | ○ 齒뉵 | |
이빨을 가는 것 | ◇ 계齒 | |
아픈 이빨을 손을 대지 않고 빼는 方法 | ◇ 去痛齒不犯手方 | |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方法 | ◇ 落齒重生方 | |
신 것을 먹어서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 | ◇ 食酸齒초 | |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藥 | ◇ 齒病塗擦方 | |
잇病 養齒疾 處方 | ◇ 齒病含漱方 | |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修養法 | ◇ 修養固齒法 | |
이빨병 때 꺼릴 것 | ◇ 齒病禁忌 | |
이빨의 빛깔을 보고 病을 알아내는 것 | ◇ 視齒色占病 | |
목구멍 | ◈ 咽喉 | |
인과 후는 각기 다르다 | ◇ 咽與喉各異 | |
인후와 회염과 설은 그 作用이 같지 않다 | ◇ 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 |
인후의 크기 | ◇ 咽喉度數 | |
맥 보는 법 | ◇ 脈法 | |
인후병은 다.화에 속한다 | ◇ 咽喉之病皆屬火 | |
인후병의 種類 | ◇ 咽喉病名 | |
단유아, 쌍유아, 후비 | ◇ 單乳蛾雙乳蛾喉痺 | |
급후비 | ○ 急喉痺 전후풍 | |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 | ◇ 懸雍垂 | |
매핵기 | ○ 梅核氣 시인 | |
목구멍이 아픈 것 | ◇ 咽喉痛 | |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 | ◇ 傷寒咽痛 | |
인후가 허는 것 | ◇ 咽喉瘡 | |
후비로 목이 쉰 것 | ◇ 喉痺失音 | |
돌림후비증 | ◇ 天行喉痺 | |
인후가 갑자기 막힌 데는 침을 놓는다 | ◇ 咽喉急閉宜鍼 | |
인후가 갑자기 막히면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咽喉急閉宜吐 | |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方法 | ◇ 引痰直捷法 | |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治療하는 方法 | ◇ 咽喉閉通治 | |
인후병에서 治療할 수 없는 증 | ◇ 咽喉不治證 | |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 | ◇ 魚骨경 | |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 | ◇ 獸骨경 | |
목에 걸린 뼈를 나오게 하는 方法 | ◇ 引경法 | |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킨 것 | ◇ 誤呑諸物 | |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 | ◇ 誤呑諸蟲 | |
목 | ◈ 頸項 | |
목의 치수 | ◇ 頸項寸數 | |
목의 部位 | ◇ 頸項部位 | |
목이 뻣뻣한 것 | ◇ 項强 | |
목에 힘이 없는 것 | ◇ 項軟 | |
豊富는 보호해야 한다 | ◇ 風府宜護 | |
잔등 | ◈ 背 | |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 | ◇ 背脊骨節有數 | |
등에는 3관이 있다 | ◇ 背有三關 | |
맥 보는 법 | ◇ 脈法 | |
등은 가슴 속의 狀態가 나타나는 곳이다 | ◇ 背爲胸府 | |
등이 시린 것 | ◇ 背寒 | |
등이 다는 것 | ◇ 背熱 | |
등이 아픈 것 | ◇ 背痛 | |
등뼈가 뻣뻣한 것 | ◇ 背强 | |
곱사등 | ◇ 背구루 | |
귀배 | ○ 龜背 | |
가슴 | ◈ 胸 | |
가슴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 뜻 | ◇ 胸膈之名有義 | |
가슴의 치수 | ◇ 胸膈度數 | |
가슴의 位置 | ◇ 胸膈部位 | |
臟腑의 경맥은 모두 격막을 지나간다 | ◇ 臟腑經脈皆貫膈 | |
맥 보는 법 | ◇ 脈法 | |
가슴앓이와 위완통의 원인은 다르다 | ◇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 |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 | ◇ 心痛有九種 | |
충심통 | ○ 蟲心痛 | |
주심통 | ○ 주心痛 | |
풍심통 | ○ 風心痛 | |
계심통 | ○ 悸心痛 | |
식심통 | ○ 食心痛 | |
음심통 | ○ 飮心痛 | |
냉심통 | ○ 冷心痛 | |
열심통 | ○ 熱心痛 | |
거래통 | ○ 去來痛 | |
심통에는 또 6가지가 있다 | ◇ 心痛亦有六 | |
비심통 | ○ 脾心痛 | |
위심통 | ○ 胃心痛 | |
신심통 | ○ 腎心痛 | |
적심통 | ○ 積心痛 | |
궐심통 | ○ 厥心痛 | |
진심통 | ○ 眞心痛 | |
가슴과 배가 같이 아픈 것 | ◇ 心腹병痛 | |
7정은 가슴 아프게 하고 식적, 담음, 어혈은 다.위를 아프게 한다 | ◇ 七情作心痛食積痰飮瘀血皆作胃脘痛 | |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 | ◇ 七情心痛 | |
식적 위완통 | ◇ 食積胃脘痛 | |
담음 위완통 | ◇ 痰飮胃脘痛 | |
어혈 위완통 | ◇ 瘀血胃脘痛 | |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 | ◇ 心胃痛當分虛實 | |
가슴과 위가 아픈 것 治療법 | ◇ 心胃痛治法 | |
여러 통증에 보기약 쓰지 말아야 | ◇ 諸痛不可用補氣藥 | |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 | ◇ 心胃痛劫藥 | |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心胃痛宜吐 | |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 ◇ 心胃痛宜下 | |
음식에 대한 금기 | ◇ 飮食禁忌 | |
구흉 | ○ 龜胸 | |
흉비 | ○ 胸비 | |
비에 한증과 열증이 있다 | ◇ 비有寒熱 | |
비에 허증과 실증이 있다 | ◇ 비有虛實 | |
비는 토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 ◇ 비宜吐下 | |
비증 治療법 | ◇ 비證治法 | |
비기에 藥을 싸매는 方法 | ◇ 염비氣法 | |
비기에 찜질하는 方法 | ◇ 위비氣法 | |
결흉 | ○ 結胸 | |
대결흉 | ○ 大結胸 | |
소결흉 | ○ 小結胸 | |
한실결흉 | ○ 寒實結胸 | |
열실결흉 | ○ 熱實結胸 | |
수결흉 | ○ 水結胸 | |
혈결흉 | ○ 血結胸 | |
음독결흉과 양독결흉 | ◇ 陰陽毒結胸 | |
지결 | ○ 支結 | |
결흉에 藥을 싸매는 方法 | ◇ 염結胸法 | |
결흉에 찜질하는 方法 | ◇ 위結胸法 | |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 | ◇ 結胸不治證 | |
젖 | ◈ 乳 | |
젖몸 사이의 치수 | ◇ 乳間度數 | |
남자와 여자는 젖과 신이 根本이 된다 | ◇ 男女乳腎爲根本 | |
몸푼 뒤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2가지가 있다 | ◇ 産後乳汁不行有二 | |
젖을 나오게 하는 것 | ◇ 下乳汁 | |
몸풀기 전에 젖이 나오는 것 | ◇ 産前乳出 | |
젖먹이가 없으면 젖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 ◇ 無兒則當消乳 | |
취유와 투유 | ◇ 吹乳妬乳 | |
유옹 | ○ 乳癰 | |
유옹 治療 方法 | ◇ 乳癰治法 | |
젖멍울이 오래되면 유암이 된다 | ◇ 結核久成於눈巖 | |
유옹은 나이가 많으면 잘 낫지 않는다 | ◇ 乳癰年高不治 | |
젖꼭지가 터진 것 | ◇ 눈頭破裂 유현증 | |
남자와 여자의 젖몸에 생긴 병은 같지 않다 | ◇ 男女乳疾不同 | |
배 | ◈ 腹 | |
배 둘레의 치수 | ◇ 腹圍度數 | |
배에는 윗배와 아랫배가 있다 | ◇ 腹有大小 | |
배 아픈 部位가 다르다 | ◇ 腹痛有部分 | |
맥 보는 법 | ◇ 脈法 | |
복통에는 6가지가 있다 | ◇ 腹痛有六 | |
차서 배가 아픈 것 | ◇ 寒腹痛 | |
열로 배가 아픈 것 | ◇ 熱腹痛 | |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 | ◇ 死血腹痛 | |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 | ◇ 食積腹痛 | |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 | ◇ 痰飮腹痛 | |
충으로 배가 아픈 것 | ◇ 蟲腹痛 | |
복통 허증 실증 | ◇ 腹痛有虛實 | |
냉이 쌓여 배 아픈 것 | ◇ 積冷腹痛 | |
배 아프고 구토 설사하는 것 | ◇ 腹痛嘔泄 | |
뱃속이 좁아지는 것 | ◇ 腹中窄狹 | |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 | ◇ 腹皮麻痺或痛 | |
뱃속이 끓는 것 | ◇ 腹中鳴 | |
용수증 | ○ 涌水證 | |
여러 가지 배아픈 증 | ◇ 腹痛諸證 | |
배 아픈 데 설사가 좋다 | ◇ 腹痛宜通利 | |
복통을 두루 治療한다 | ◇ 腹痛通治 | |
복통의 나쁜 症候 | ◇ 腹痛凶證 | |
배꼽 | ◈ 臍 | |
배꼽은 몸의 中心에 있다 | ◇ 臍居一身之中 | |
배꼽 아래에 丹田이 있다 | ◇ 臍下有丹田 | |
연제법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 | ◇ 煉臍延壽 | |
배꼽에 뜸을 떠서 오래 살게 하는 법 | ◇ 灸臍得延年 | |
배꼽을 덥게 하는 것이 좋다 | ◇ 臍宜溫煖 | |
뜸 대신 배꼽에 바르는 고약 | ◇ 代灸塗臍膏 | |
배꼽을 덥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하는 처방 | ◇ 溫臍種子方 | |
배꼽을 덥게 해 주기 위해서 배를 싸매 주는 方法 | ◇ 溫臍兜두方 | |
약쑥으로 배꼽 봉하는 方法 | ◇ 封臍艾 | |
배꼽 部位가 툭툭 뛰는 증 | ◇ 臍築證 | |
배꼽병에서 나쁜 증 | ◇ 臍凶證 | |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 | ◇ 小兒臍瘡 | |
허리 | ◈ 腰 | |
허리 둘레의 치수 | ◇ 腰圍度數 | |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 | ◇ 腰爲腎府 | |
맥 보는 법 | ◇ 脈法 | |
요통에는 10가지가 있다 | ◇ 腰痛有十 | |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 | ◇ 腎虛腰痛 | |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 | ◇ 痰飮腰痛 | |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 | ◇ 食積腰痛 | |
접질려 허리가 아픈 것 | ◇ 挫閃腰痛 | |
어혈로 허리가 아픈 것 | ◇ 瘀血腰痛 | |
풍으로 허리가 아픈 것 | ◇ 風腰痛 | |
찬 氣運으로 허리가 아픈 것 | ◇ 寒腰痛 | |
습으로 허리가 아픈 것 | ◇ 濕腰痛 | |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 | ◇ 濕熱腰痛 | |
기로 허리가 아픈 것 | ◇ 氣腰痛 | |
신착증 | ○ 腎着證 | |
요통을 두루 治療한다 | ◇ 腰痛通治 | |
요통의 豫後가 나쁜 것 | ◇ 腰痛凶證 | |
도인법 | ○ 導仁法 | |
옆구리 | ◈ 脇 | |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치수 | ◇ 脇腋度數 | |
옆구리와 겨드랑이는 간담에 속한다 | ◇ 脇腋屬肝膽 | |
맥 보는 법 | ◇ 脈法 | |
협통에는 5가지가 있다 | ◇ 脇痛有五 | |
기울로 옆구리 아픈 것 | ◇ 氣鬱脇痛 | |
어혈로 옆구리 아픈 것 | ◇ 死血脇痛 | |
담음 옆구리 아픈 것 | ◇ 痰飮脇痛 | |
식적 옆구리 아픈 것 | ◇ 食積脇痛 | |
풍한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 | ◇ 風寒脇痛 | |
건협통 | ○ 乾脇痛 | |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 | ◇ 脇痛有虛實 | |
협통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해야 한다 | ◇ 脇痛分左右 | |
신에 있는 사기가 위로 치밀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 | ◇ 腎邪上薄爲脇痛 | |
식적증 | ○ 息積證 | |
비기증 | ○ 肥氣證 | |
암내 | ◇ 腋臭 | |
누액 | ○ 漏液 | |
피부 | ◈ 皮 | |
피부에는 部分이 있다 | ◇ 皮有部分 | |
피부와 털은 肺에 속한다 | ◇ 皮毛屬肺 | |
풍한의 사기는 먼저 피모로 들어온다 | ◇ 風寒之邪先入皮毛 | |
맥 보는 법 | ◇ 脈法 | |
피부가 가렵고 아픈 것 | ◇ 痒痛 | |
반진 | ○ 반疹 | |
음증의 반진 | ◇ 陰證發반 | |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 | ◇ 內傷發반 | |
반진이 돋으려는 症候 | ◇ 發반候 | |
반진의 豫後 | ◇ 반疹吉凶證 | |
은진 | ○ 은疹 | |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 | ◇ 사좌비 | |
단독 | ○ 丹毒 | |
마목 | ○ 麻木 | |
색택증 | ○ 索澤證 | |
전풍 | ○ 전風, 역양풍 | |
자전풍을 治療 처방 | ◇ 治紫전風方 | |
자전풍과 백전풍을 治療하는 처방 | ◇ 治赤白汗斑方 | |
검은 사마귀와 기미 | ◇ 黑지엽子 | |
기미를 없애는 方法 | ◇ 去黑엽子方 | |
살 | ◈ 肉 | |
살은 脾胃에 속한다 | ◇ 肉屬脾胃 | |
살에는 계곡과 같은 것이 있다 | ◇ 肉有谿谷 | |
군은 살의 표이다 | ◇ 군爲肉標 | |
살로써 살찌고 여윈 것을 표준한다 | ◇ 肉主肥瘦 | |
식역증 | ○ 食역證 | |
육가증 | ○ 肉苛證 | |
육위증 | ○ 肉위證 | |
부인이 여위는 것 | ◇ 婦人瘦췌 | |
살 빠져 고치지 못하는 증 | ◇ 肉脫不治證 | |
육절의 症候 | ◇ 肉絶候 | |
군살 | ◇ 贅肉 | |
무사마귀 | ◇ 우目 | |
맥 | ◈ 脈 | |
맥은 혈과 기보다.앞선다 | ◇ 脈者血氣之先 | |
‘맥’자에는 意味가 있다 | ◇ 脈字有義 | |
맥 보는 법 | ◇ 脈法 | |
손가락을 대는 법 | ◇ 下指法 | |
12경맥 | ○ 十二經脈 | |
15락맥 | ○ 十五絡脈 | |
기경8맥 | ○ 奇經八脈 | |
맥이 뛰는 데는 기준이 있다 | ◇ 脈動有準 | |
촌구는 맥의 가장 重要한 곳이고 모이는 곳이다 | ◇ 寸口者脈之大要會 | |
6부맥에 음과 양이 뒤섞인 것 | ◇ 六脈陰陽錯綜 | |
인영맥 | ○ 人迎脈과 기구맥 | |
촌, 관, 척의 합한 길이는 1치 9푼이다 | ◇ 寸關尺合一寸九分 | |
27가지 맥 | ○ 脈 | |
부맥 | ○ 浮脈 | |
규맥 | ○ 규脈 | |
활맥 | ○ 滑脈 | |
실맥 | ○ 實脈 | |
현맥 | ○ 弦脈 | |
긴맥 | ○ 緊脈 | |
홍맥 | ○ 洪脈 | |
미맥 | ○ 微脈 | |
침맥 | ○ 沈脈 | |
완맥 | ○ 緩脈 | |
색맥 | ○ 색脈 | |
지맥 | ○ 遲脈 | |
복맥 | ○ 伏脈 | |
유맥 | ○ 濡脈 | |
약맥 | ○ 弱脈 | |
장맥 | ○ 長脈 | |
단맥 | ○ 短脈 | |
허맥 | ○ 虛脈 | |
촉맥 | ○ 促脈 | |
결맥 | ○ 結脈 | |
대맥 | ○ 代脈 | |
뇌맥 | ○ 牢脈 | |
동맥 | ○ 動脈 | |
세맥 | ○ 細脈 | |
삭맥 | ○ 數脈 | |
대맥 | ○ 大脈 | |
산맥 | ○ 散脈 | |
서로 비슷한 맥 | ◇ 相類脈 | |
서로 反對되는 맥 | ◇ 相反脈 | |
5장 | ○ 五臟의 맥 | |
6부 | ○ 六腑의 맥 | |
4절기에 나타나는 맥 | ◇ 四時脈 | |
촌, 관, 척이 주관하는 것 | ◇ 寸關尺所主 | |
사람의 몸에는 9후맥이 있다 | ◇ 人身九候脈 | |
맥병에 쓰는 약 | ◇ 脈病藥餌 | |
힘줄 | ◈ 筋 | |
힘줄은 간에 속한다 | ◇ 筋屬肝 | |
종근 | ○ 宗筋 | |
12경맥에는 다.경근이 있다 | ◇ 十二經皆有筋 | |
족태양의 경근 | ◇ 足太陽之筋 | |
족소양의 경근 | ◇ 足少陽之筋 | |
족양명의 경근 | ◇ 足陽明之筋 | |
족태음의 경근 | ◇ 足太陰之筋 | |
족소음의 경근 | ◇ 足少陰之筋 | |
족궐음의 경근 | ◇ 足厥陰之筋 | |
수태양의 경근 | ◇ 手太陽之筋 | |
수소양의 경근 | ◇ 手少陽之筋 | |
수양명의 경근 | ◇ 手陽明之筋 | |
수태음의 경근 | ◇ 手太陰之筋 | |
수심주의 경근 | ◇ 手心主之筋 | |
수소음의 경근 | ◇ 手少陰之筋 | |
무릎 힘줄 모이는 곳 | ◇ 膝爲筋府 | |
힘줄 땅기거나 늘어지는 것 | ◇ 筋急筋緩 | |
근위 | ○ 筋위 | |
힘줄에 경련이 이는 것 | ◇ 筋계 | |
힘줄과 살이 푸들거리는 것 | ◇ 筋상肉순 | |
전근 | ○ 轉筋, 쥐가 나는 것 | |
힘줄이 상한 것 | ◇ 筋傷證 | |
힘줄병 때 겉에 나타나는 症候 | ◇ 筋病外證 | |
근절의 症候 | ◇ 筋絶證 | |
힘줄을 펴는 법 | ◇ 舒筋法 | |
뼈 | ◈ 骨 | |
뼈는 신에 속한다 | ◇ 骨屬腎 | |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 | ◇ 骨爲髓府 | |
등뼈의 수 | ◇ 脊骨有數 | |
광대뼈는 뼈의 根本이 된다 | ◇ 관爲骨本 | |
뼈가 시린 것 | ◇ 骨寒 | |
뼈가 다는 것 | ◇ 骨熱 | |
골위 | ○ 骨위 | |
뼈가 아픈 것 | ◇ 骨痛 | |
뼈가 상한 증 | ◇ 骨傷證 | |
뼈에 생긴 병 겉 症候 | ◇ 骨病外證 | |
뼈 氣運 끊어진 症候 | ◇ 骨絶證 | |
손 | ◈ 手 | |
팔의 部位별 치수 | ◇ 手部度數 | |
팔에는 어깻죽지, 팔죽지, 팔굽, 팔뚝, 손목이 포함된다 | ◇ 手領肩유주臂腕 | |
손가락에는 각각 이름이 있다 | ◇ 手五指有名 | |
팔다리는 모든 양의 根本이 된다 | ◇ 四肢爲諸陽之本 | |
손바닥을 보고 위의 狀態를 알 수 있다 | ◇ 手掌以候胃 | |
팔다리가 다는 것 | ◇ 四肢熱 | |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 | ◇ 四肢不用 | |
어깻죽지와 팔 병인 | ◇ 肩臂病因 | |
담음 있으면 팔 아프다 | ◇ 痰飮多爲臂痛 | |
팔이 아픈 것은 6개의 경맥과 관련이 있다 | ◇ 臂痛有六道經絡 | |
풍이 성해서 팔다리에 병이 생긴 것 | ◇ 風 末疾 | |
결양증 | ○ 結陽證 | |
열손가락에 감각이 둔해진 것 | ◇ 十指麻木 | |
어깨뼈와 팔뼈가 어긋난 것 | ◇ 肩臂骨脫臼 | |
옷깃 만지고 헛손질하며 침대 만지작거리는 것 | ◇ 手循衣撮空摸床 | |
심허하여 손 떨리는 것 | ◇ 心虛手振 | |
손톱 보고 병 알 수 있다 | ◇ 手瓜占病 | |
생손앓이 | ◇ 代指 | |
손발이 트는 것 | ◇ 手足 裂 | |
발 | ◈ 足 | |
다리의 部位별 치수 | ◇ 足部度數 | |
다리에는 넓적다리, 허벅지, 무릎, 종지뼈, 장딴지, 정강이, 발목이 포함된다 | ◇ 足領 股膝 脛腕 | |
맥 보는 법 | ◇ 脈法 | |
궐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 | ◇ 厥有寒熱 | |
한궐 | ○ 寒厥 | |
열궐 | ○ 熱厥 | |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 | ◇ 脚氣異名 | |
각기병의 원인 | ◇ 脚氣病因 | |
각기병의 症狀 | ◇ 脚氣病證 | |
각기병을 治療하는 方法 | ◇ 脚氣治法 | |
각기 때 위험한 症狀 | ◇ 脚氣危證 | |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 | ◇ 脚氣禁忌法 | |
각기병 때 안마법 | ◇ 脚氣按摩法 | |
위증의 원인 | ◇ 病之因 | |
위증을 治療하는 方法 | ◇ 病治法 | |
열궐로 생긴 위증 | ◇ 熱厥成 | |
학슬풍 | ○ 鶴膝風 | |
다리병 때 豫後가 나쁜 症狀 | ◇ 脚病凶證 | |
갑저창 | ○ 甲疽瘡 | |
티눈 | ◇ 肉刺 | |
머리털 | ◈ 毛髮 | |
머리털은 신에 속한다 | ◇ 髮屬腎 | |
머리털은 혈의 나머지이다 | ◇ 髮者血之餘 | |
12경맥과 털이 많고 적은 것 | ◇ 十二經毛髮多少 | |
발, 미, 수, 염, 자가 각각 다르다 | ◇ 髮眉鬚髥 各異 | |
머리털, 눈썹, 수염은 각기 속한 데가 있다 | ◇ 髮眉鬚各有所屬 | |
부인은 수염이 없다 | ◇ 婦人無鬚 | |
환관은 수염이 없다 | ◇ 宦官無鬚 | |
수염과 머리털이 길어지거나 마르는 것 | ◇ 鬚髮榮枯 | |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 | ◇ 鬚髮黃落 | |
희어진 수염이나 머리털을 검게 물들이는 方法 | ◇ 染白烏鬚髮 | |
머리는 자주 빗어야 한다 | ◇ 髮宜多櫛 | |
머리털을 보고 豫後가 나쁜 증을 알 수 있다 | ◇ 髮占凶證 | |
생식기 | ◈ 前陰 | |
전음은 종근에 속한다 | ◇ 前陰屬宗筋 | |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 | ◇ 前陰諸疾 | |
산증의 원인 | ◇ 疝病之因 | |
맥 보는 법 | ◇ 脈法 | |
산증은 주로 간이 주관한다 | ◇ 疝專主肝 | |
산증에는 7가지가 있다 | ◇ 疝病有七 | |
한산 | ○ 寒疝 | |
수산 | ○ 水疝 | |
근산 | ○ 筋疝 | |
혈산 | ○ 血疝 | |
기산 | ○ 氣疝 | |
호산 | ○ 狐疝 | |
퇴산 | ○ 疝 | |
산증의 症狀 | ◇ 疝病證候 | |
여러 가지 산증을 治療하는 方法 | ◇ 諸疝治法 | |
한산약 | ◇ 寒疝藥 | |
수산약 | ◇ 水疝藥 | |
근산약 | ◇ 筋疝藥 | |
혈산약 | ◇ 血疝藥 | |
기산약 | ◇ 氣疝藥 | |
호산약 | ◇ 狐疝 | |
퇴산약 | ◇ 疝藥 | |
한쪽 고환이 커져서 내려 처진 것 | ◇ 陰卵偏墜 | |
목신 | ○ 木腎 | |
분돈산기 | ○ 奔豚疝氣 | |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 | ◇ 陰縱陰縮 | |
탈양증 | ○ 脫陽證 | |
음위 | ○ 陰 | |
음經過 음낭이 찬 것 | ◇ 陰冷 | |
음낭이 붓는 것 | ◇ 陰腫 | |
음낭옹 | ◇ 囊癰 | |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 | ◇ 陰囊濕痒 | |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 | ◇ 疝痛劫藥 | |
여러 가지 산증에 두루 쓰는 약 | ◇ 諸疝通治 | |
산증 때 위험한 症狀 | ◇ 疝病危證 | |
산증 때 꺼릴 것 | ◇ 疝病禁忌 | |
음낭병 때 죽을 症狀 | ◇ 陰囊病死候 | |
도인법 | ○ 導引法 | |
음식창과 하감창 | ◇ 陰蝕瘡下疳瘡 | |
부인 음문 여러 병 | ◇ 婦人陰門諸疾 | |
음정 | ○ 陰挺과 음탈 | |
음부 부은 것, 음부 가려운 것, 음부 헌 것, 음부 찬 것, 성生活 하면 피 나오는 것 | ◇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 |
지실과 귤껍질로 찜질하는 方法 | ◇ 枳橘 法 | |
항문 | ◈ 後陰 | |
항문의 무게와 치수 | ◇ 肛門重數 | |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 | ◇ 肛門別名 | |
치질의 원인 | ◇ 痔病之因 | |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 | ◇ 痔者峙也 | |
맥 보는 법 | ◇ 脈法 | |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 | ◇ 諸痔名目 | |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 | ◇ 痔有內外 | |
맥치 | ○ 脈痔 | |
장치 | ○ 腸痔 | |
기치 | ○ 氣痔 | |
혈치 | ○ 血痔 | |
주치 | ○ 酒痔 | |
수치질 | ◇ 牡痔 | |
암치질 | ◇ 牝痔 | |
누치 | ○ 瘻痔 | |
장풍 | ○ 腸風과 장독 | |
치루 | ○ 痔漏 | |
탈항 | ○ 脫肛 | |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 | ◇ 肛門痒痛 | |
치질에 여러 병 겸한 것 | ◇ 痔兼諸病 | |
치질을 治療하는 方法 | ◇ 痔病治法 | |
치질을 두루 治療하는 약 | ◇ 痔病通治 | |
치질 때 씻어 주는 方法 | ◇ 洗痔法 | |
치질 때 연기를 쏘이는 方法 | ◇ 熏痔法 | |
치질에 바르는 약 | ◇ 塗痔藥 | |
치질 때 꺼릴 것 | ◇ 痔病禁忌 | |
치질 때 좋지 못한 症狀 | ◇ 痔病凶證 | |
잡병편 | ◈ 雜病篇 | |
病의 原因을 찾는 方法 | ◈ 審病 | |
神, 聖, 工, 巧 | ||
病을 診察하는 方法 | ◇ 診病之道 | |
明堂의 빛을 보는 方法 | ◇ 明堂察色 | |
5가지 빛으로 豫後를 判斷하다 | ◇ 五色占吉凶 | |
病을 診察하는 妙한 方法 | ◇ 察病玄機 | |
內徑의 病理機傳 | ◇ 內經病機 | |
5臟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 | ◇ 五臟者中之守 | |
5臟은 속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다 | ◇ 五臟者身之强 | |
갓 생긴 病인가, 오래된 病인가를 알아내는 法 | ◇ 占新久病 | |
治療할 수 있는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可治難治證 | |
病에는 5邪가 있다 | ◇ 病有五邪 | |
氣, 血, 痰, 火를 갈라 보는 것 | ◇ 辨氣血痰火 | |
밤과 낮에 따라 病이 輕해지거나, 重해지는 것 | ◇ 凡病晝夜輕重 | |
病이 낫는 날짜와 時間 | ◇ 病愈日時 | |
7珍 때의 죽을 수 있는 症狀 | ◇ 七診死候 | |
5臟이나 陰陽의 氣가 끊어진 症狀 | ◇ 五臟及陰陽絶候 | |
雜病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症狀 | ◇ 雜病占死候 | |
病證을 가리는 方法 | ◈ 辨證 | |
5가지 實證과 5가지 虛證 | ◇ 五實五虛 | |
陰陽에서 病이 생긴다 | ◇ 陰陽生病 | |
陰陽이 虛하고 實한 것 | ◇ 陰陽虛盛 | |
精神을 傷한 것 | ◇ 內傷精神 | |
寒熱에 形體와 氣가 傷한다 | ◇ 寒熱傷形氣 | |
속한 것을 찾는 方法 | ◇ 求屬法 | |
病을 治療하는 方法 | ◇ 療病式 | |
3가지 治療할 수 없는 것과 6가지 治療할 수 없는 것 | ◇ 三不治六不治 | |
3代를 내려온 醫師를 貴重히 여긴다 | ◇ 醫貴三世 | |
4철 생기는 病 | ◇ 四時生病 | |
온갖 病이 처음 생기는 經緯 | ◇ 百病始生 | |
모든 病은 아침에 輕해졌다가, 저녁에 重해진다 | ◇ 百病朝慧夕加 | |
正常이 아닌 것은 病이다 | ◇ 反常爲病 | |
찬 것을 좋아하거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것 | ◇ 便寒便熱 | |
살이 쪘거나 여윈 데 따라 病證을 갈라 보아야 한다 | ◇ 肥瘦辨病候 | |
勇敢한 사람과 卑怯한 사람은 形體가 다르다 | ◇ 勇怯異形 | |
臟腑病이 천천히 傳해 가는 것 | ◇ 臟腑病緩傳 | |
臟腑病이 빨리 傳해 가는 것 | ◇ 臟腑病急傳 | |
邪氣와 正氣가 虛하거나 實한 것 | ◇ 邪精虛實 | |
3가지 虛한 것과 3가지 實한 것 | ◇ 三虛三實 | |
脈과 病이 一致되는 것과 反對되는 것 | ◇ 脈從病反 | |
表와 本이 서로 反對되는 것 | ◇ 標本相反 | |
惡寒과 惡熱 | ◇ 惡寒惡熱 | |
榮衛에 病이 생긴 것 | ◇ 榮衛生病 | |
飮食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 | ◇ 能食不能食 | |
病이 實한 것인가, 虛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 ◇ 凡病辨有餘不足 | |
病에 形體가 있는 것과 없는 것 | ◇ 凡病有形無形 | |
3焦가 作用하지 못하는 것 | ◇ 三焦不歸 | |
2尸, 4異, 4寄 | ◇ 二尸四異四奇 | |
男子와 女子 病의 原因 | ◇ 男女病因 | |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病이 생긴다 | ◇ 升降失常爲病 | |
陰症과 陽症을 갈라야 한다 | ◇ 辨陰陽二證 | |
內傷과 外傷을 갈라야 한다 | ◇ 辨內傷外傷 | |
8虛에 생긴 症候는 5臟과 關聯이 있다 | ◇ 八虛候五臟 | |
사람은 7日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 | ◇ 人不食七日死 | |
病에는 5가지 逆證이 있다 | ◇ 病有五逆 | |
5가지 맛은 各各 들어가는 곳이 있다 | ◇ 五味所入 | |
5臟 氣運으로 생기는 病 | ◇ 五氣所病 | |
5精所病 | ○ 五精所幷 | |
5臟이 싫어하는 것 | ◇ 五臟所惡 | |
5臟과 關聯된 津液 | ◇ 五臟化液 | |
5가지 꺼릴 맛 | ◇ 五味所禁 | |
5病所發 | ○ 五病所發 | |
5邪所亂 | ○ 五邪所亂 | |
5邪脈이 나타나는 것 | ◇ 五邪所見 | |
5臟이 간직하고 있는 것 | ◇ 五臟所藏 | |
5臟이 主管하는 것 | ◇ 五臟所主 | |
5勞所傷 | ○ 五勞所傷 | |
5臟과 關聯된 5가지 脈 | ◇ 五脈應象 | |
맥을 보는 方法 | ◈ 診脈 | |
自然環境과 調和되는 6가지 主되는 脈 | ◇ 天和六脈 | |
脈은 반드시 生氣가 있어야 한다 | ◇ 脈當有神 | |
脈에는 胃氣가 基本이다 | ◇ 脈以胃氣爲本 | |
진장맥 | ○ 眞臟脈 | |
損脈과 至脈 | ◇ 損至脈 | |
이경맥 | ○ 離經脈 | |
南政과 北政의 脈 | ◇ 南北政脈 | |
止代脈으로 죽는 時期를 알 수 있다 | ◇ 止代脈定死期 | |
塞, 促, 結, 代 脈은 다.途中에 멎는 脈이다 | ◇ 促結代脈皆中止 | |
陰脈과 陽脈 | ◇ 陰陽脈 | |
잔적맥 | ○ 殘賊脈 | |
호맥 | ○ 互脈 | |
청고무맥 | ○ 淸高無脈 | |
病 深할 때 반드시 太谿脈과 衝陽脈을 짚는다 | ◇ 凡病革必診太谿衝陽 | |
脈이 大한 것은 病이 進行되는 것이다 | ◇ 脈大病進 | |
寸口脈이 平하면 죽을 수 있다 | ◇ 寸口脈平猶死 | |
脈과 症狀이 反對되는 것 | ◇ 脈從病反 | |
脈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 | ◇ 脈絶不見 | |
脈 짚는 데 가볍게와 힘 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 | ◇ 診有輕重 | |
늙은이와 젊은이 脈과 男子와 女子 脈 다르다 | ◇ 老少男女異脈 | |
살 쪘거나 여윈 것, 키 크거나 작은 데 따라 脈이 다르다 | ◇ 肥瘦長短異脈 | |
모든 脈의 重要한 指針 | ◇ 諸脈綱領 | |
모든 脈에 따르는 病證 | ◇ 諸脈病證 | |
죽을 수 있는 것을 豫見하는 여러 가지 脈 | ◇ 諸死脈 | |
10가지 異常한 脈 | ◇ 十怪脈 | |
嘔吐시키는 方法 | ◈ 吐 | |
봄에는 吐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春宜吐 | |
吐하게 하는 것은 옛날부터 써 온 方法이다 | ◇ 吐乃古法 | |
上焦에 病이 있을 때는 吐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病在上宜吐 | |
湧吐劑는 쓰기가 어렵다 | ◇ 涌劑難用 | |
吐하게 하는 藥 | ◇ 吐藥 | |
吐하게 하는 方法 | ◇ 取吐法 | |
吐하도록 돕는 方法 | ◇ 助吐法 | |
藥을 코로 넣어 주는 方法 | ◇ 灌鼻法 | |
吐하게 해야 할 證 | ◇ 可吐證 | |
吐하게 하지 말아야 할 證 | ◇ 不可吐證 | |
脊脈이 나타나지 않을 때 吐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下部脈不見宜吐 | |
吐하는 것을 멈추는 方法 | ◇ 止吐法 | |
도창법 | ○ 倒倉法 | |
윤회주 | ○ 輪廻酒 | |
倒倉法 쓸 때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 참아야 한다 | ◇ 倒倉順忍煩惱 | |
倒倉法의 意義 | ◇ 倒倉之義 | |
하천고 | ○ 霞天膏 | |
泄瀉시키는 方法 | ◈ 下 | |
가을에는 泄瀉시키는 것이 좋다 | ◇ 秋宜下 | |
泄瀉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 | ◇ 下無太晩 | |
泄瀉시켜야 할 證 | ◇ 宜下證 | |
泄瀉를 빨리 시키는 方法 | ◇ 促下法 | |
泄瀉를 너무 시키면 亡陰證이 생긴다 | ◇ 下多亡陰 | |
泄瀉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 | ◇ 下法宜愼 | |
泄瀉를 몹시 시킨 다음, 泄瀉가 멎지 않는 것 | ◇ 大下後難禁 | |
泄瀉시키는 藥 | ◇ 下藥 | |
반드시 大便不通門을 參考해야 한다 | ||
땀을 내는 方法 | ◈ 汗 | |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 | ◇ 夏宜汗 | |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 | ◇ 汗無太早 | |
땀을 내는 方法 | ◇ 發汗法 | |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 | ◇ 發汗緩急 | |
汗蒸하여 땀을 내는 것 | ◇ 蒸劫發汗 | |
땀을 자주 내면 壽命이 짧아진다 | ◇ 促汗夭壽 | |
땀을 내야 할 證 | ◇ 可汗證 | |
땀을 내지 말아야 할 證 | ◇ 不可汗證 | |
땀을 많이 내면 亡陽證이 생긴다 | ◇ 汗多亡陽 | |
해기 | ○ 解肌 | |
반드시 津液門을 參考하여야 한다. | ||
藥을 쓰는 方法 | ◈ 用藥 | |
最近의 醫學理論에 對하여 | ◇ 近世論醫 | |
形氣의 狀態에 따라 補하거나 瀉해야 한다 | ◇ 形氣用補瀉 | |
藥을 쓰는 代替的 方法 | ◇ 用藥大體 | |
水와 火를 갈라 治療하는 데 對한 노래 | ◇ 水火分治歌 | |
標本을 갈라 治療하는 데 대한 노래 | ◇ 標本分治歌 | |
病을 治療할 때는 반드시 本을 治療해야 한다 | ◇ 治病必求於本 | |
病이 急할 때는 標, 緩晩할 때는 本을 治療한다 | ◇ 急則治標緩則治本 | |
標와 本에 생긴 病에 藥쓰는 先後次 | ◇ 標本用藥先後 | |
太陽과 少陰의 標病과 本病에 藥을 다르게 쓴다 | ◇ 太陽少陰標本異藥 | |
自然과 調和되는 것이 傷하지 않게 해야 한다 | ◇ 毋伐天和 | |
藥을 쓰는 基本 方法 | ◇ 用藥大法 | |
藥 쓸 때 반드시 時禁, 經禁, 病禁, 藥禁 알아야 | ◇ 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 |
5가지 鬱證에 대한 治療法 | ◇ 五鬱治法 | |
藥은 病에 맞게 變通해서 써야 한다 | ◇ 用藥權變 | |
땀을 내거나 泄瀉시킬 때 注意해야 할 點 | ◇ 汗下之戒 | |
有能한 醫師는 病이 생기기 前에 治療한다 | ◇ 上工治未病 | |
虛하고 實한 데 따라 補하거나, 瀉해야 한다 | ◇ 虛實補瀉 | |
補하고 瀉하는 妙한 秘訣 | ◇ 補瀉妙訣 | |
補하는 것과 瀉하는 것이 兼해진 것 | ◇ 補瀉相兼 | |
所屬을 찾아 治療하는 方法 | ◇ 求屬之法 | |
病을 治療하는 3가지 方法 | ◇ 治病三法 | |
病을 治療하는 5가지 方法 | ◇ 療病五法 | |
生理作用의 根源을 補하는 것 | ◇ 滋化源 | |
자모보사 | ◇ 子母補瀉 | |
藥은 簡單하면서 要緊한 것을 쓰는 것이 重要하다 | ◇ 藥貴簡要 | |
處方을 要約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 | ◇ 約方猶約囊 | |
醫師는 冊을 쓰지 않는다는 것 | ◇ 醫不著書 | |
通하면 아프지 않다 | ◇ 通則不痛 | |
氣를 溫화하게 해야 한다 | ◇ 溫之以氣 | |
病은 寒, 濕, 熱, 燥에 不過하다 | ◇ 人病不過寒濕熱燥 | |
至陽은 至陰으로 補座해야 한다 | ◇ 至陽佐以至陰 | |
胃氣를 傷하지 말아야 한다 | ◇ 勿傷胃氣 | |
살찌고 여윈 데 따라 藥을 쓰는 方法 | ◇ 肥瘦用藥 | |
食事療法으로 病을 治療하는 것 | ◇ 食療治病 | |
病을 治療하는 데 8가지 重要한 것 | ◇ 治病八要 | |
補하지 말아야 할 4가지 病이 있다 | ◇ 病有不可補者四 | |
表證, 裏證, 虛證, 實證에 쓰는 藥 | ◇ 表裏虛實藥 | |
風證, 熱證, 燥證, 濕證, 寒證을 治療하는 方法 | ◇ 風熱燥濕寒治法 | |
病을 治療할 때는 먼저 病의 뿌리를 없애야 한다 | ◇ 治病先去根 | |
18劑 | ○ 十八劑 | |
풍 | ◈ 風 | |
中風의 前溝症狀 | ◇ 中風微漸 | |
調攝하여 治療하거나 豫防하여야 한다 | ◇ 調治預防 | |
熱은 風을 생기게 한다 | ◇ 熱生風 | |
살찐 사람은 흔히 中風에 걸린다 | ◇ 肥人多中風 | |
中風의 原因 | ◇ 中風所因 | |
中風의 主된 症狀 | ◇ 中風大證 | |
賊風과 虛邪가 사람에게 侵犯하는 것 | ◇ 賊風虛邪中人 | |
中風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 | ◇ 中風大法有四 | |
中風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 | ◇ 中風之名各不同 | |
脈 보는 法 | ◇ 脈法 | |
中風에는 中血脈, 中腑, 中臟 差異가 있다 | ◇ 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 |
卒中風의 救急治療 | ◇ 卒中風救急 | |
이를 악문 것을 벌리는 法 | ◇ 開遮法 | |
吐하게 하는 方法 | ◇ 取吐法 | |
薰蒸하는 方法 | ◇ 熏法 | |
治療할 수 없는 證 | ◇ 不治證 | |
갑자기 넘어지는 것 | ◇ 暴徒 | |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 | ◇ 暴啞 | |
精神이 흐릿한 것 | ◇ 精神蒙昧 | |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 | ◇ 口眼渦斜 | |
팔다리 못쓰는 것 | ◇ 手足痺 | |
팔다리에 생긴 계종과 휵닉은 風病이다 | ◇ 四肢 爲風疾 | |
痰涎이 몹시 盛한 것 | ◇ 痰涎壅盛 | |
中風의 熱證 | ◇ 中風熱證 | |
中風의 虛證 | ◇ 中風虛證 | |
中風 때는 氣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 | ◇ 中風宜調氣 | |
中風은 땀을 많이 내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 | ◇ 風非大汗則不除 | |
風病은 도地支 않도록 미리 막아야 한다 | ◇ 風病須防再發 | |
中風이 深하지 않을 때, 지나치게 治療할 必要없다 | ◇ 小中不須深治 | |
中風 때 飮食을 잘 먹는 것 | ◇ 中風能食 | |
상풍증 | ○ 傷風證 | |
여러 가지 風證에 대한 이름 | ◇ 諸風病名 | |
風病을 治療하는 方法 | ◇ 風病治法 | |
여러 가지 風證을 두루 治療하는 處方 | ◇ 諸風通治 | |
風痺證 始初 | ◇ 風痺之始 | |
3가지 痺證 | ◇ 三痺 | |
5가지 痺證 | ◇ 五痺 , | |
痺證 때 脈 | ◇ 痺脈 | |
痺證 形態 | ◇ 痺病形證 | |
痺證 豫後 | ◇ 痺病吉凶 | |
痺證 때는 흔히 痲木을 兼하게 된다 | ◇ 痺病多兼麻木 | |
風痺는 胃證과 비슷 | ◇ 風痺與 相類 | |
痺證 治療 어려운 것 | ◇ 痺病難治 | |
痺證 때 治療法 | ◇ 痺病治法 | |
痺證 이름과 쓰는 藥 | ◇ 痺證病名及用藥 | |
歷節風 原因 | ◇ 歷節風病因 | |
歷節風 症狀 | ◇ 歷節風證狀 | |
歷節風 治療法 | ◇ 歷節風治法 | |
금기법 | ○ 禁忌法 | |
破傷風 原因 | ◇ 破傷風病因 | |
雉와 痙을 一般的으로 破傷風이라고 한다 | ◇ 治與痙通稱破傷風 | |
破傷風 症狀 | ◇ 破傷風形證 | |
破傷風 脈狀 | ◇ 破傷風脈 | |
破傷風 治療法 | ◇ 破傷風治法 | |
破傷風 治療는 傷寒 3가지 治療法과 같다 | ◇ 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 |
雉病에는 剛治와 柔治의 2가지 症狀이 있다 | ◇ 有剛柔二證 | |
雉病은 癎疾과 비슷하나 다르므로, 風病으로 보고 治療는 안 된다 | ◇ 雉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 |
破傷風의 豫後가 좋지 못한 症狀 | ◇ 破傷風凶證 | |
화 | ◈ 火...君火 | |
火에는 君火와 相火의 2가지가 있다 | ◇ 火有君相之二 | |
火는 元氣의 賊이다 | ◇ 火爲元氣之賊 | |
脈 보는 法 | ◇ 脈法 | |
5藏熱證의 鑑別 | ◇ 辨五臟熱證 | |
손으로 눌러 熱이 깊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 手按辨熱深淺 | |
藏腑의 熱을 判斷하는 部位 | ◇ 審臟腑熱之部分 | |
火와 熱에도 實한 것과 虛한 것이 있다 | ◇ 火熱有實有虛 | |
熱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區別이 있다 | ◇ 熱有晝夜之分 | |
火는 上焦火, 中焦火, 下焦火 差異 있다 | ◇ 火有上中下三焦之異 | |
三焦의 火를 두루 治療하는 藥 | ◇ 通治三焦火 | |
積熱 | ○ 積熱 | |
骨烝熱 | ○ 骨蒸熱 | |
骨烝에서 治療할 수 없는 證 | ◇ 骨蒸不治證 | |
五心熱 | ○ 五心熱 | |
潮熱 | ○ 潮熱 | |
虛煩 | ○ 虛煩 | |
올라오는 氣運은 火에 屬한다 | ◇ 上升之氣屬火 | |
惡熱과 惡寒 | ◇ 惡熱惡寒 | |
陽虛하면 겉 차고, 陽盛하면 겉이 단다 | ◇ 陽虛外寒陽盛外熱 | |
陰虛하면 속 달고, 陰盛하면 속이 차다 | ◇ 陰虛內熱陰盛內寒 | |
陽虛와 陰虛의 2가지 證의 鑑別 | ◇ 辨陽虛陰虛二證 | |
술을 마시고 熱 나는 것 | ◇ 飮酒發熱 | |
瘀血로 熱 나는 것 | ◇ 滯血發熱 | |
陰虛하여 火가 動하는 것 | ◇ 陰虛火動 | |
陰虛하여 火가 動한 것은 治療 어렵다 | ◇ 陰虛火動者難治 | |
火 抑制 方法 있다 | ◇ 制火有方 | |
熱 내리는 方法 | ◇ 退熱有法 | |
藏腑의 火를 瀉하는 藥 | ◇ 臟腑瀉火藥 | |
火熱을 두루 治療하는 藥을 쓰는 法 | ◇ 通治火熱藥法 | |
서 | ◈ 暑...相火 | |
暑란 相火가 作用하는 것이다 | ◇ 暑者相火行令也 | |
傷寒이 轉變하여 溫病이나 暑病이 된다 | ◇ 傷寒傳變爲溫爲暑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暑病의 形態와 症狀 | ◇ 暑病形證 | |
中暑 때의 救急治療 | ◇ 中暑救急 | |
中割과 中熱의 鑑別 | ◇ 中割中熱之辨 | |
무더운 여름에는 氣를 補해야 한다 | ◇ 夏暑宜補氣 | |
暑病에는 冒暑, 中暑, 傷暑의 3가지 證이 있다 | ◇ 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 |
暑風 | ○ 暑風 | |
暑熱로 煩渴이 나는 것 | ◇ 暑熱煩渴 | |
暑病으로 吐하고 泄瀉하는 것 | ◇ 暑病吐瀉 | |
伏暑證 | ○ 伏暑證 | |
注夏病 | ○ 注夏病 | |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調攝하는 法 | ◇ 夏暑將理法 | |
暑熱에 두루 쓰는 藥 | ◇ 暑熱通治藥 | |
습 | ◈ 濕 | |
濕은 물 氣運이다 | ◇ 濕乃水氣 | |
안개와 이슬 氣運이 障氣가 된다 | ◇ 霧露之氣爲障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濕氣가 몸에 沈濕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 | ◇ 濕氣侵人不覺 | |
안개와 이슬의 맑고 濁한 邪氣가 사람에게 沈濕 | ◇ 霧露淸濁之邪中人 | |
火熱은 濕을 生한다 | ◇ 火熱生濕 | |
濕病은 傷寒과 비슷하다 | ◇ 濕病類傷寒 | |
濕病에 7가지가 있다 | ◇ 濕病有七 | |
濕病은 몸이 아프고, 暑病은 몸이 아프지 않다 | ◇ 濕多身痛暑無身痛 | |
濕에는 內濕과 外濕이 있다 | ◇ 濕有內外之殊 | |
濕病의 治療法과 두루 쓰는 藥 | ◇ 濕病治法及通治藥 | |
濕病에 땀 내고, 泄瀉시키는 것, 뜸뜨는 것을 禁한다 | ◇ 濕病禁汗下及灸 | |
濕病에 땀을 몹시 내면, 雉病이 된다 | ◇ 濕病大汗則成雉病 | |
조 | ◈ 燥 | |
燥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 | ◇ 燥因血少 | |
脈 보는 法 | ◇ 脈法 | |
燥病은 肺金의 病이다 | ◇ 燥者肺金之病 | |
燥病에는 血을 補하는 것이 좋다 | ◇ 燥宜養血 | |
한 | ◈ 寒 | |
겨울에는 傷寒에 걸린다 | ◇ 冬爲傷寒 | |
傷寒은 重한 病이다 | ◇ 傷寒號爲大病 | |
兩感傷寒은 죽을 病이다 | ◇ 兩感傷寒爲死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傷寒은 熱病으로 變한다 | ◇ 傷寒變熱 | |
傷寒의 傳經 | ◇ 傷寒傳經 | |
傷寒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 | ◇ 傷寒或愈或死日期 | |
傷寒의 主된 病 形態 | ◇ 傷寒大法 | |
太陽病은 6가지로 傳해진다 | ◇ 太陽六傳 | |
6經의 標와 本 | ◇ 六經標本 | |
太陽病의 形態와 症狀에 쓰는 藥 | ◇ 太陽形證用藥 | |
陽明病의 形態와 症狀에 쓰는 藥 | ◇ 陽明形證用藥 | |
少陽病의 形態와 症狀에 쓰는 藥 | ◇ 少陽形證用藥 | |
太陰病의 形態와 症狀에 쓰는 藥 | ◇ 太陰形證用藥 | |
少陰病의 形態와 症狀과 쓰는 藥 | ◇ 少陰形證用藥 | |
厥陰病의 形態와 症狀과 쓰는 藥 | ◇ 厥陰形證用藥 | |
傷寒陽證 | ○ 傷寒陽證 | |
傷寒陰證 | ○ 傷寒陰證 | |
傷寒表證 | ○ 傷寒表證 | |
傷寒裏證 | ○ 傷寒裏證 | |
傷寒의 半表半裏證 | ◇ 傷寒半表半裏證 | |
傷寒陰厥 | ○ 傷寒陰厥 | |
傷寒陽厥 | ○ 傷寒陽厥 | |
陰厥과 陽厥이 輕하고 重한 것 | ◇ 陰陽厥輕重 | |
陰厥과 陽厥을 갈라 보는 方法 | ◇ 辨陰陽厥法 | |
厥에는 藏厥과 會厥이 있다 | ◇ 厥有藏厥會厥 | |
厥과 四逆은 같지 않다 | ◇ 厥與四逆不同 | |
傷寒陰毒 | ○ 傷寒陰毒 | |
傷寒陽毒 | ○ 傷寒陽毒 | |
陰盛隔陽 | ○ 陰盛隔陽 | |
陽盛拒陰 | ○ 陽盛拒陰 | |
陰極似陽 | ○ 陰極似陽 | |
陽極似陰 | ○ 陽極似陰 | |
傷寒雜證 | ○ 傷寒雜證 | |
傷寒의 合病 | ◇ 傷寒合病 | |
傷寒의 倂病 | ◇ 傷寒倂病 | |
傷寒煩躁 | ○ 傷寒煩躁 | |
懊濃不鬱 | ◇ 懊濃不鬱 | |
傷寒戰慄 | ○ 傷寒戰慄 | |
傷寒動悸 | ○ 傷寒動悸 | |
傷寒動氣 | ○ 傷寒動氣 | |
내상 | ◈ 內傷 | |
飮食과 藥으로 病을 治療한다 | ◇ 食藥療病 | |
飮食物은 生命을 維持하는데 基本이다 | ◇ 水穀爲養命之本 | |
飮食物 精氣가 陰陽으로 變해 榮衛로 들어가 | ◇ 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 |
內傷에 飮食傷과 勞倦傷 2가지 原因이 있다 | ◇ 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 |
脈 보는 法 | ◇ 脈法 | |
食傷證 | ○ 食傷證 | |
食傷의 治療法 | ◇ 食傷治法 | |
食傷 때 消化藥 | ◇ 食傷消導之劑 | |
食傷에 補藥 | ◇ 食傷補益之劑 | |
술에 傷한 것 | ◇ 酒傷 | |
술을 마시는 데서 꺼려야 할 것 | ◇ 飮酒禁忌 | |
술毒은 여러 가지 病을 생기게 한다 | ◇ 酒毒變爲諸病 | |
술로 생긴 病을 治療하는 法 | ◇ 酒病治法 | |
술에서 깨게 하고 醉하지 않게 하는 것 | ◇ 醒酒令不醉 | |
勞倦傷 | ○ 勞倦傷 | |
內傷과 外傷의 鑑別 | ◇ 辨內外傷證 | |
勞倦傷의 治療法 | ◇ 勞倦傷治法 | |
內傷病 때 脾胃가 虛하고 實한 것 | ◇ 內傷病脾胃虛實 | |
脾胃 傷하면 飮食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 | ◇ 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 |
脾氣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 | ◇ 脾結不食 | |
생각을 지나치게 하여 氣가 몰려 먹지 못하는 것 | ◇ 思結不食 | |
飮食을 먹은 뒤에 精神이 흐릿하고 몸이 勞困한 것 | ◇ 食後昏困 | |
입맛 잃는 것은 下焦 元陽 衰弱 때문이다 | ◇ 不嗜飮食由下元陽衰 | |
內傷病 初期 속이 熱하나 나중에 속이 차다 | ◇ 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 |
內傷으로 여러 가지 病이 된다 | ◇ 內傷變爲諸病 | |
呑酸과 吐酸 | ◇ 呑酸吐酸 | |
粗雜證 | ○ 粗雜證 | |
懊怒 | ○ 懊怒 | |
트림 | ◇ 噫氣 | |
熱隔과 反胃 | ◇ 熱膈反胃 | |
心身을 安定시키고 脾胃를 고르게 하는 法 | ◇ 安養心神調治脾胃 | |
內傷 때 調理하는 法 | ◇ 內傷將理法 | |
5가지 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病이 된다 | ◇ 五味過傷爲病 | |
水土가 맞지 않아서 생긴 病은 內傷과 같다 | ◇ 不伏水土病與內傷同 | |
內傷때 調理하고 補하는 藥 | ◇ 內傷調補藥 | |
食厥 | ○ 食厥 | |
食積은 傷寒과 비슷하다 | ◇ 食積類傷寒 | |
飮食으로 內傷이 된 데는 吐하게 하는 것이 좋다 | ◇ 內傷飮食宜吐 | |
飮食에 傷한 데는 泄瀉시키는 것이 좋다 | ◇ 內傷飮食宜下 | |
導引法 | ○ 導引法 | |
술을 끊는 方法 | ||
虛勞 | ◈ 虛勞 | |
虛勞病의 原因 | ◇ 虛勞病源 | |
虛勞證 | ○ 虛勞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5勞證 | ○ 五勞證 | |
6極證 | ○ 六極證 | |
7傷證 | ○ 七傷證 | |
몸에는 陽이 實하고 陰은 不足하다 | ◇ 人身陽有餘陰不足 | |
氣虛, 血虛, 陽虛, 陰虛의 鑑別 | ◇ 辨氣虛血虛陽虛陰虛 | |
虛勞 때의 治療法 | ◇ 虛勞治法 | |
陰이 虛한 데 쓰는 藥 | ◇ 陰虛用藥 | |
陰이 虛하여 갑자기 氣絶한 것을 治療하는 法 | ◇ 陰虛暴絶治法 | |
陽虛에 쓰는 藥 | ◇ 陽虛用藥 | |
陰陽 모두 虛에 쓰는 藥 | ◇ 陰陽俱虛用藥 | |
心이 虛한 데 쓰는 藥 | ◇ 心虛藥 | |
肝이 虛한 데 쓰는 藥 | ◇ 肝虛藥 | |
脾가 虛한 데 쓰는 藥 | ◇ 脾虛藥 | |
肺가 虛한 데 쓰는 藥 | ◇ 肺虛藥 | |
腎이 虛한 데 쓰는 藥 | ◇ 腎虛藥 | |
虛勞증 두루 治療하는 藥 | ◇ 虛勞通治藥 | |
虛勞에 調理하는 藥 | ◇ 虛勞調理藥 | |
虛勞를 治療하는 葛可久의 10가지 藥 | ◇ 葛可久治虛勞十藥 | |
虛勞에 살 수 있는 證과 죽을 수 있는 證 | ◇ 虛勞生死證 | |
虛勞證에 大脈이 나타나는 것 | ◇ 虛勞脈代證 | |
전궐증 | ○ 煎厥證 | |
咳逆증 | ○ 解逆證 | |
주하병 | ○ 注夏病 | |
二陽병 | ○ 二陽病 | |
治療하기 어려운 證과 治療할 수 없는 證 | ◇ 難治不治證 | |
吐瀉廓亂 | ◈ 廓亂 | |
廓亂 原因 | ◇ 廓亂之因 | |
廓亂 形態와 症狀 | ◇ 廓亂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廓亂에는 乾廓亂과 濕廓亂이 있다 | ◇ 廓亂有乾有濕 | |
乾廓亂 治療法 | ◇ 乾廓亂治法 | |
濕廓亂 治療法 | ◇ 濕廓亂治法 | |
廓亂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 | ◇ 廓亂後轉筋 | |
廓亂을 앓은 뒤 煩渴 | ◇ 廓亂後煩渴 | |
廓亂을 앓은 뒤 虛煩 | ◇ 廓亂後虛煩 | |
廓亂 때 吐하는 法 | ◇ 廓亂吐法 | |
廓亂 때 찜질하는 法 | ◇ 廓亂蒸法 | |
廓亂 때 침 놓는 法 | ◇ 廓亂鍼法 | |
廓亂 때 뜸 뜨는 法 | ◇ 廓亂灸法 | |
꺼릴 것 | ◇ 禁忌法 | |
治療할 수 없는 症狀 | ◇ 不治證 | |
배멀미로 吐하고 泄瀉하는 것 | ◇ 水疾吐瀉 | |
구토 | ◈ 嘔吐 | |
嘔吐의 原因 | ◇ 嘔吐之因 | |
脈 보는 法 | ◇ 脈法 | |
吐하기 治療法 | ◇ 嘔吐治法 | |
惡心과 헛嘔逆 | ◇ 惡心乾嘔 | |
食痺로 먹은 것 吐하는 것 | ◇ 食痺吐食 | |
吐하는 病 3가지 | ◇ 吐病有三 | |
熱隔과 反胃 原因 | ◇ 反胃病因 | |
熱隔과 反胃 治療法 | ◇ 反胃治法 | |
嘔吐, 熱隔, 反胃 때 大便을 通하게 해야 한다 | ◇ 嘔吐 反胃宜通大便 | |
治療하기 어렵거나, 治療할 수 없는 證 | ◇ 難治不治證 | |
기침 | ◈ 咳嗽 | |
기침病의 原因 | ◇ 咳嗽病因 | |
脈 보는 法 | ◇ 脈法 | |
기침은 肺와 關聯되나 臟腑와 聯關도 있어 | ◇ 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 |
臟腑와 關聯된 기침을 治療하는 藥 | ◇ 臟腑治咳藥 | |
기침 發作 4철 따라 일찍, 늦게 하는 差異 있다 | ◇ 嗽作有四時早晏之異 | |
기침의 여러 가지 症狀 | ◇ 咳嗽諸證 | |
기침을 두루 治療하는 藥 | ◇ 通治咳嗽藥 | |
喘息에는 8가지가 있다 | ◇ 喘證有八 | |
여러 가지로 傷해서 숨찬 證과 기침이 나는 것 | ◇ 諸傷發喘嗽 | |
喘息과 기침을 두루 治療하는 藥 | ◇ 喘嗽通治藥 | |
喘息이나 기침 때는 寒證과 熱證을 갈라야 한다 | ◇ 喘嗽宜辨寒熱 | |
喘息이나 기침 때 반드시 虛證과 實證을 갈라야 한다 | ◇ 喘嗽宜分虛實 | |
喘息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 | ◇ 喘嗽聲嘶 | |
喘息, 기침에 氣 치밀어 오르는 것 腎虛 때문이다 | ◇ 喘嗽上氣出於腎虛 | |
喘息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治療하는 藥 | ◇ 喘嗽劫藥 | |
喘息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藥 | ◇ 喘嗽熏藥 | |
효증 | ○ 哮證 | |
肺脹증 | ○ 肺脹證 | |
肺威證 | ○ 肺威證 | |
해역증 | ○ 咳逆證 | |
咳逆과 얼은 한 가지이다 | ◇ 咳逆與 爲一 | |
咳逆 治療 方法 | ◇ 咳逆治法 | |
痢疾 앓은 뒤 생긴 咳逆 | ◇ 痢後咳逆 | |
飮食 막혀 생긴 咳逆 | ◇ 食塞咳逆 | |
가래 막혀 생긴 咳逆 | ◇ 痰閉咳逆 | |
물 몰려 생긴 咳逆 | ◇ 水結咳逆 | |
지나치게 웃어서 생기는 咳逆 | ◇ 過笑咳逆 | |
咳逆 때 治療하기 쉬운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咳逆易治難治證 | |
재채기를 하게 하는 方法 | ◇ 取 法 | |
코에 냄새를 쏘이는 方法 | ◇ 嗅臭法 | |
꺼려야 할 것 | ◇ 禁忌法 | |
기침, 喘息, 딸꾹질 때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嗽喘咳逆不治證 | |
積聚 | ◈ 積聚 | |
積聚의 原因 | ◇ 積聚之因 | |
五積과 六聚에 대하여 | ◇ 論五積六聚 | |
伏梁에는 2가지 證이 있다 | ◇ 伏梁有二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6鬱이 積聚, 懲假, 弦壁의 原因이다 | ◇ 六鬱爲積聚 癖之本 | |
肥塊와 積聚가 생기는 部位 | ◇ 肥塊積聚所屬部分 | |
肥塊의 症狀과 治療 | ◇ 肥塊證治 | |
積聚를 治療하는 方法 | ◇ 積聚治法 | |
懲假와 弦癖의 症狀과 治療 | ◇ 懲假弦癖證治 | |
精氣를 補하면 積은 저절로 없어진다 | ◇ 養正積自除 | |
腸覃, 石假, 血蠱의 症狀과 治療 | ◇ 腸覃石 血蠱證治 | |
식적병 | ○ 息積病 | |
도인법 | ○ 導引法 | |
여러 가지 飮食에 傷하면 積이 된다 | ◇ 諸物傷成積 | |
積聚, 懲假, 弦癖, 肥塊를 두루 治療하는 藥 | ◇ 積聚,懲假,弦癖,肥塊通治藥 | |
겉에 붙이는 藥 | ◇ 外貼法 | |
懲假 때 찜질하는 方法 | ◇ 懲假治法 | |
손에 쥐고 있으면 積이 풀리는 藥 | ◇ 握藥宣積 | |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難治證 | |
浮腫 | ◈ 浮腫 | |
浮腫의 原因 | ◇ 浮腫之因 | |
浮腫의 始初 | ◇ 浮腫徵兆 | |
浮腫의 形態와 症狀 | ◇ 浮腫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水腫을 治療하는 方法 | ◇ 水腫治法 | |
10가지 水證 | ◇ 十水證과 十水丸 | |
結陽證 | ○ 結陽證 | |
氣分證과 血分證 | ◇ 氣分證血分證 | |
産前産後에 생기는 浮腫 | ◇ 婦人産前後浮腫 | |
藥을 먹지 않고도 저절로 물이 빠지게 하는 方法 | ◇ 不服藥自去水方 | |
浮腫治療에 두루 쓰는 藥 | ◇ 浮腫通治藥 | |
治療할 수 있는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可治不治證 | |
꺼릴 것 | ◇ 禁忌法 | |
脹滿 | ◈ 脹滿 | |
脹滿의 原因 | ◇ 脹滿之源 | |
脹滿의 形態와 症狀 | ◇ 脹滿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脹病에는 7가지가 있다 | ◇ 脹病有七 | |
脹滿을 治療 方法 | ◇ 脹滿治法 | |
脹滿을 두루 治療 藥 | ◇ 脹滿通治藥 | |
濁氣가 上焦에 있으면 津脹이 생긴다 | ◇ 濁氣在上則生津脹 | |
傷寒이나 熱病 때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 | ◇ 傷寒熱病腹脹滿 | |
脹滿은 眞臟病 | ◇ 脹滿乃眞臟病也 | |
脹滿 때 泄瀉 나는 것 | ◇ 脹滿泄瀉 | |
겉에 붙이는 藥 | ◇ 外敷法 | |
治療할 수 있는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可治不可治證 | |
消渴 | ◈ 消渴 | |
消渴의 原因 | ◇ 消渴之源 | |
消渴의 形態와 症狀 | ◇ 消渴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消渴에는 3가지가 있다 | ◇ 消渴有三 | |
식역증 | ○ 食易證 | |
消渴 때에는 오줌이 달다 | ◇ 消渴小便甛 | |
消渴은 腎火가 衰弱하여 생긴다 | ◇ 消渴由坎火衰少 | |
消渴은 脚氣와 서로 反對이다 | ◇ 消渴與脚氣相反 | |
消渴을 두루 治療하는 藥 | ◇ 消渴通治藥 | |
주갈 | ○ 酒渴 | |
충갈 | ○ 蟲渴 | |
강중증 | ○ 强中證 | |
消渴이 變한 症狀 | ◇ 消渴傳變證 | |
消渴 때 반드시 壅底가 생기는 것을 豫防해야 한다 | ◇ 消渴須預防癰疽 | |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不治證 | |
꺼릴 것 | ◇ 禁忌法 | |
黃疸 | ◈ 黃疸 | |
黃疸의 原因 | ◇ 黃疸之因 | |
黃疸에는 5가지가 있다 | ◇ 黃疸有五 | |
脈 보는 法 | ◇ 脈法 | |
黃疸을 治療하는 方法 | ◇ 黃疸治法 | |
酒疸이 第一 威重하다 | ◇ 酒疸最重 | |
黑疸은 治療 어렵다 | ◇ 黑疸難治 | |
음황 | ○ 陰黃 | |
돌림病으로 생긴 黃疸 | ◇ 疫 發黃 | |
콧구멍에 藥을 불어 넣어 黃疸을 治療하는 方法 | ◇ 鼻退黃法 | |
黃疸을 두루 治療하는 藥 | ◇ 黃疸通治藥 | |
疸癖 때 흙, 숯, 생쌀, 차잎을 먹기 좋아한다 | ◇ 疸癖愛喫土炭生米茶葉 | |
治療할 수 있는 證과 治療하기 어려운 證 | ◇ 可治不治證 | |
虐疾 | ◈ 虐疾 | |
虐疾 原因 | ◇ 虐疾病之源 | |
虐疾 形態 症狀 | ◇ 虐疾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惡寒과 熱 先後差 | ◇ 寒熱先後 | |
惡寒 났다.熱 났다.하는 것 | ◇ 寒熱往來 | |
虐疾이 發作하는 날짜가 길거나 짧은 것 | ◇ 虐疾發日數多少 | |
虐疾이 낮 밤, 일찍 또는 늦게 發作 差異 있다 | ◇ 虐疾發有晝夜早晏之異 | |
6경 虐疾 | ◇ 六經虐疾 | |
虐疾은 낮과 밤 發作을 반드시 갈라 治療 | ◇ 虐疾晝發夜發宜分治 | |
여러 가지 虐疾의 症候와 治療 | ◇ 諸 證治 | |
虐疾로 惡寒이 멎지 않는 것은 病 뿌리가 있기 때문 | ◇ 虐疾寒熱不歇有根 | |
惡寒이 났다.열이 났다.하는 것이 虐疾과 비슷한 것 | ◇ 寒熱似虐 | |
虐疾을 治療하는 方法 | ◇ 疾治法 | |
虐疾 治療 때 반드시 陰陽 갈라지게 藥 써야 | ◇ 治虐疾須用分陰陽之藥 | |
虐疾이 將次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 | ◇ 知虐疾將差 | |
虐疾이 發作하지 못하도록 세게 治療하는 方法 | ◇ 截虐疾法 | |
豫防하는 法 | ◇ 禳法 | |
꺼릴 것 | ◇ 禁忌法 | |
治療하기 어려운 것과 治療할 수 없는 證 | ◇ 難治不治證 | |
瘟疫 | ◈ 瘟疫 | |
瘟疫의 原因 | ◇ 瘟疫之因 | |
瘟疫의 形態와 症狀 | ◇ 瘟疫形證 | |
脈 보는 法 | ◇ 脈法 | |
瘟疫을 治療하는 方法 | ◇ 瘟疫治法 | |
大頭瘟證 | ○ 大頭瘟證 | |
大頭瘟을 治療하는 方法 | ◇ 大頭瘟治法 | |
豫防하는 法 | ◇ 禳法 | |
瘟疫豫防法 | ◇ 瘟疫豫防法 | |
傳染되지 않게 하는 方法 | ◇ 不傳梁法 | |
장역 | ○ 장疫 | |
瘟疫과 熱病 때 治療하지 못하는 證 | ◇ 瘟疫熱病不治證 | |
사수 | ◈ 邪수 | |
사수 形態 症狀 | ◇ 邪形證 | |
10주, 5尸 | ◇ 十 五尸 | |
脈 보는 法 | ◇ 脈法 | |
사수와 시주를 治療하는 藥 | ◇ 邪 尸 治藥 | |
시주病을 알아내는 方法 | ◇ 驗尸 法 | |
豫防法 | ◇ 禳法 | |
導引法 | ○ 導引法 | |
癰疽 | ◈ 癰疽 | |
癰疽의 原因 | ◇ 癰疽發病之原 | |
癰疽의 전구症狀 | ◇ 癰疽欲發之候 | |
癰疽의 이름과 생김새 | ◇ 癰疽名狀 | |
癰疽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原因 | ◇ 癰疽腫痛痒之因 | |
癰疽가 輕重과 옅고 깊은 것을 갈라 내는 것 | ◇ 癰疽輕重淺深之辨 | |
癰疽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部位가 따로 있다 | ◇ 定癰疽死之部分 | |
癰疽 때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 갈라 보아야 | ◇ 癰疽當分內外 | |
癰疽 때 반드시 經絡 관련된 것 가려 보아야 한다 | ◇ 癰疽當分經絡 | |
癰疽 때의 脈 | ◇ 癰疽脈 | |
癰疽 때 治療 어려운 것과 治療 못할 症狀 | ◇ 癰疽難治不治證 | |
癰疽 때 고름 있는가 깊은 가 갈라 보아야 | ◇ 癰疽辨膿有無及淺深 | |
癰疽 주위 無理 생긴 것 | ◇ 癰疽發暈 | |
癰疽 때 죽을 수 있는 證 | ◇ 癰疽死證 | |
癰疽 때 좋거나 나쁜 證 | ◇ 癰疽善惡證 | |
癰疽 治療 大法 | ◇ 治癰疽大法 | |
癰疽 때 內托하는 方法 | ◇ 癰疽內托法 | |
陰疽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方法 | ◇ 陰疽起發法 | |
癰疽의 5발증 | ◇ 癰疽五發證 | |
癰疽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方法 | ◇ 癰疽作穴出膿法 | |
皮膚를 傷하게 하지 않고 고름을 빼내는 法 | ◇ 隔皮取膿法 | |
癰疽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方法 | ◇ 癰疽排膿生肌法 | |
癰疽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藥 | ◇ 癰疽瘡口深大方 | |
癰疽 때 궂은 살을 없애는 方法 | ◇ 癰疽去惡肉方 | |
癰疽 때 달임약물로 씻는 方法 | ◇ 癰疽湯洗法 | |
癰疽에 藥을 뿌리고 붙이는 方法 | ◇ 癰疽 貼法 | |
참대대롱으로 毒氣를 빨아내는 方法 | ◇ 竹筒吸毒方 | |
癰과 疽를 가른다 | ◇ 內外分癰疽 | |
癰疽에 겹친 여러 症狀 | ◇ 癰疽雜證 | |
癰疽 두루 쓰는 藥 | ◇ 癰疽通治藥 | |
調理하는 方法과 禁하는 것 | ◇ 調理及禁忌法 | |
여러 가지 瘡腫 | ◈ 諸瘡 | |
여러 가지 外傷 | ◈ 諸傷 | |
해독 | ◈ 解毒 | |
구급 | ◈ 救急 | |
괴상한 病 | ◈ 怪疾 | |
잡방 | ◈ 雜方 | |
婦人病 | ◈ 婦人病 | |
어린이病 | ◈ 小兒 | |
충 | ◈ 蟲 | |
탕액편 | ◈ 湯液篇 | |
탕액편 서문 | ◈ 湯液序例 | |
藥으로 쓰는 물 | ◈ 水部 | |
藥으로 쓰는 흙 | ◈ 土部 | |
藥으로 쓰는 곡식 | ◈ 穀部 | |
藥으로 쓰는 새 | ◈ 禽部 | |
藥으로 쓰는 짐승 | ◈ 獸部 | |
藥으로 쓰는 물고기 | ◈ 魚部 | |
藥으로 쓰는 벌레 | ◈ 蟲部 | |
藥으로 쓰는 과실 | ◈ 果部 | |
藥으로 쓰는 채소 | ◈ 菜部 | |
藥으로 쓰는 풀 | ◈ 草部 | |
藥으로 쓰는 나무 | ◈ 木部 | |
藥으로 쓰는 구슬 | ◈ 玉部 | |
藥으로 쓰는 돌 | ◈ 石部 | |
藥으로 쓰는 쇠돌 | ◈ 金部 | |
人部 | ◈ 人部 | |
침구편 | ◈ 鍼灸篇 | |
침과 뜸 | ◈ 鍼灸 |
반응형
BIG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소 중 에너지 (1) | 2024.01.01 |
---|---|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 (1) | 2023.12.27 |
미네랄과 그 효능 (1) | 2023.12.12 |
흡연으로 인한 질병 (0) | 2023.11.28 |
통풍 (1)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