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소 중 지질

2024. 1. 1. 20:11건강

728x90
반응형
BIG

지질

지질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서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으나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 녹는 특성이 있다.

식사 중 지질의 98%는 중성지방과 아실글리세롤이며, 그 외 인지질, 당지질 및 스핑고지질 등 복합지질, 이소프레노이드지질(비타민A, 비타민 E, coenzyme Q), 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

중성지방은 한 분자의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이 결합된 형태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산은 대부분 짝수의 탄소 수를 가지며, 그 수는 12-22개 정도이다.

지방산은 탄화수소의 이중결합 유무, 이중결합 위치 및 개수에 따라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오메가-6와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으로 나눌 수 있다.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에는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과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이 있다.

.

섭취기준

지방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에 비해 두배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과다 섭취는 비만의 위험을 높일 수 있고 비만과 관련된 만성대사성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지방 섭취 제한 시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섭취가 증가할 수 있고, 탄수화물(전분 및 당류) 섭취 증가는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

심혈관질관의 주요 위험요인인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지방 섭취량보다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영향이 잘 알려져 있다.

식품이나 영양보충제품으로부터 섭취된 지방산은 체내 세포막, 혈액 및 혈구 세포, 모유 등에 분포되므로 이들 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면 체내 지방산의 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방의 섭취기준 설정시 에너지 급원이 되는 다른 다량 영양소와의 섭취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성별, 연령별 평균필요량과 이에 따른 권장섭취량을 산정하기 위한 결핍의 위험도, 만성대사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적정 섭취기준, 안전한 섭취를 위한 상한섭취량을 결정할 과학적인 근거가 필요하다.

.

오메가-3 지방산, 특히 EPA와 DHA의 섭취는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고한 다수의 역학 및 임상 연구가 있으며, 메타분석에서도 일관되게 심근경색, 심부전, 죽상경화증,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부정맥 등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보고되었다.

심혈관질환자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EPA와 DHA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

EPA와 DHA는 염증, 혈압, 부정맥, 혈소판 응집, 혈관확장, 동맥경화, 혈관 내피 세포 기능,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

오메가-3 지방산과 뇌 건강 및 인지기능에 관한 임상연구의 메타분석에서 EPA와 DHA 섭취가 우울증 개선에 도움이 됨을 보고하였으며, 우울증 치료지침에서 증상 개선을 위해 EPA 1-2 g/일 또는 EPA:DHA 비율을 2:1로 권장하고 있다.

또한 EPA+DHA 섭취가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 됨을 보고하였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인슐린 민감성에 영향을 주어 당뇨병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있으나 오메가-3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고 상관관계가 보고되지 않은 연구도 있었다.

그 밖에 임상연구 및 역학 연구에서 EPA+DHA섭취가 근골격계질환, 염증성장질환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가 있다.

.

다수의 무작위대조군연구에서 오메가-6 지방산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관련 지단백질(VLDL, IDL, LDL) 감소와 고밀도 지단백질(HDL) 증가에 기여하여 이상지질혈증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었다.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오메가-6 지방산 비율을 증가시킨 식단을 제공한 무작위대조군연구 결과, 오메가-6 지방산 섭취는 포화지방산을 주로 섭취하는 군에 비해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인 혈중 sICAM-1이 감소하였다.

.

정상인과 고혈압 환자를 비교한 일본의 단면연구에서 고혈압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오메가-6 지방산을 적게 섭취하였다.

미국인을 대상으로 12년간 추적한 코호트 연구에서 오메가-6 지방산을 에너지의 4-5% 섭취 시 공복기혈당과 내당능장애 발병 위험이 낮았다고 보고되었다.

이 밖에도 여러 단면연구와 코호트연구를 통해 인지기능장애, 녹내장, 신장질환, 폐암과 소화암, 피부 건강에 대한 오메가-6 지방산의 긍정 효과가 입증되었다.

반응형
BIG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소 중 식이섬유  (0) 2024.01.01
영양소 중 단백질  (1) 2024.01.01
영양소 중 탄수화물  (0) 2024.01.01
영양소 중 에너지  (1) 2024.01.01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  (1) 2023.12.27